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세번째 대권 도전 이재명 “더 간절하고 절박해…여전히 헌법파괴·내란세력 준동”

김혜진 기자
입력 : 
2025-04-11 11:21: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11일 현재의 국가 상황을 언급하며 이번 대선에 대한 절박함과 책임감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 대선과 달리 이번에는 국가 공동체의 파괴 위협이 존재한다고 경고하며 회복과 성장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이 전 대표는 경제 및 외교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공익적 기업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K-이니셔티브, 韓이 세계 속 주도적 역할 하자는 것
경선룰,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수용
국가 단위의 기업 지원·투자·협력 반드시 필요해”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11일 출마했던 지난 대통령선거와 비교해서 “이재명이 좀 더 절박해졌고, 좀 더 간절해졌고, 좀 더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 발표식을 진행한 뒤 취재진과 만나 ‘지난 대선에 이어 이번 제20대 대선에도 출마하는데 무엇이 달라졌는지’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객관적인 국가 상황도 많이 변했다. 그때 당시에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경쟁’이었다고 한다면 지금은 대한민국이 나락에 떨어지지 않게 막을 것이냐, 제자리를 찾아 앞으로 나아갈 것이냐가 결정되는 국면 같다”며 “저번 대선에서는 최소한 반헌법세력, 반국가세력에 의한 공동체 파괴의 위협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이번 대선에는 내란이 계속되고 있고, 국가 공동체 파괴 시도 세력이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파괴와 퇴행의 과거로 갈 것인가, 회복과 성장의 정상적 세계로 갈 것인가 하는 역사적 분기점, 분수령”이라고 부연했다.

또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의 핵심 비전과 이번 대선 비전의 차이점에 대해 “당시에는 공정성을 중심으로 했다면 이번에는 성장으로 무게 중심을 옮겼다”며 “다만 K-이니셔티브는 대한민국이 세계 속에서 주도적 역할을 최대한 하자는 취지다. K-컬처 콘텐츠는 상당히 세계 속 대한민국을 인정받았고, K-민주주의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도 내란이 계속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란의 주요 책임자들이 여전히 다 밝혀지지 않고 있다”면서 “진상이 정확히 드러나고 상응하는 명확한 책임이 부과되고, 앞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와 사회적 합의가 끝나야 내란 청산이 끝났다고 생각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1일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1일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어 “이 국가 질서의 근본은 헌법 그리고 하위 규범인 법과 규범들인데, 최고 규범인 헌법이 무시되고 심지어 파괴되고 있다”면서 “지금 권한대행이 내란대행이라고 불리지 않나. 이런 상황이 정리돼야 한다. 여전히 헌법 파괴 세력, 내란 세력은 준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민주당 경선룰이 확정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는 “선수인데 심판의 규칙에 대해 뭐라고 말하겠나”라며 “합리적으로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전 대표는 “경제, 외교 상황도 많이 변했다. 당시와 지금은 몇 년 사이긴 하지만 경제 질서, 국제적 경제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며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첨단과학기술의 새 시대가 시작했다. 국민 대부분도 거대 언어모델 소위 ‘챗GPT’ 같은 인공지능을 많이 사용한다. 저도 우리 보좌진들보다 훨씬 낫다는 생각을 한다”고 했다.

이어 “국가단위 경쟁을 넘어섰고, 국가 내 대기업이라 불리는 정도론 안 되고 정말 초거대 자본, 기술력을 필요로 해서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렵다”며 “국가 단위의 지원, 투자, 협력 반드시 필요하고 그런 역할을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만 기업들이 좀더 공익적, 합리적이고 기업 활동에 의해 생겨난 이익을 누군가 독식하는 게 아니라 합리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나눠야 한다”며 “최근 특정 기업이 다른 나라에 인수합병되는 것보단 국내에서 투자 유치하는 게 낫지 않겠나 이런 논란이 있다. 이런 기회를 국민이 함께 나누는 것도 좋다. 경제 패러다임이 많이 변했고 정부 역할이 중요한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