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호남 “이재명 뿐” 영남 “이재명은 안돼”…행정수도 충청권이 화두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지역 민심은 차기 대선을 향해 나뉘고 있으며, 호남에서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지지가 뚜렷한 반면, 영남 지역에서는 반(反)이재명 정서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보수의 심장인 대구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경우 지역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국민의힘 내에서는 중도 확장성이 있는 후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충청권에서는 조기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주의 깊게 지켜보며, 새로운 대통령이 물가 안정과 국민 부담 경감을 실현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양당 텃밭 민심 극과 극
충청은 “인물보다 공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호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호영 기자]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지역 민심 관심은 차기 대선으로 쏠리고 있다. 불과 2개월 남은 조기 대선을 두고 ‘탄핵은 곧 정권 교체’라는 시각과 ‘탄핵은 탄핵, 선거는 선거’라는 시각이 나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텃밭인 호남과 국민의힘 안마당인 영남 간 민심이 확연히 엇갈리는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첫 주말인 5일과 6일 매일경제가 만난 지역 시민들은 “나라 안정을 위해 헌법재판소 판결을 존중하고, 조기 대선을 대한민국을 한 단계로 끌어올리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대체로 형성돼 있었다.

하지만 차기 대권 후보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호남 지역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 지지로 결집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광주광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시민 김 모씨(63)는 “검찰공화국을 끝낸 것이야말로 국민이 쥔 최후의 수단”이라며 “이재명 대표처럼 강단 있고 검찰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사람이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라북도 전주에 사는 직장인 김 모씨(32)도 “국정이 너무 무너졌다. 이제는 누가 국민을 제대로 챙길지를 봐야 한다”면서 “이재명 정도는 돼야 흐트러진 정치를 바로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호남 지역에서는 김영록 전라남도 도지사도 대선 도전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영남 지역에서는 ‘이재명 대세론’에 대해 강한 우려와 경계감을 나타내고 있다.

보수의 심장으로 꼽히는 대구광역시 서문시장에서는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해 대부분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반(反)이재명 정서가 여전히 강했다. 서문시장에서 의류 등을 파는 김 모씨(65)도 “윤석열이 파면은 됐지만 주변 상인이나 손님들 대부분이 그래도 이재명은 안 된다는 이야기를 한다”며 “민주당에서 정권을 잡으면 대구는 폭망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많이 한다”고 말했다.

부산광역시 경제계 관계자도 “이 대표와 민주당은 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을 반대하고 부산 시민이 바라는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통과에도 관심이 없다”면서 “이런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았을 때 부산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심이 든다”고 했다.

이 때문에 이 대표와 맞설 수 있도록 국민의힘에서 중도 확장성이 있는 후보가 나서야 한다는 민심도 있다. 대구에서 국민의힘 당원으로 활동 중인 시민 권 모씨(66)는 “이재명 대표에 맞설 수 있는 국민의힘 후보는 중도 확장성이 있는 후보여야 한다”며 “국민의힘 책임당원들도 향후 경선에서 중도 확장성이 있는 후보에게 표를 몰아줄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에서는 이 같은 영호남의 ‘보수정권 심판론’과 ‘이재명 부적격론’ 민심이 혼재돼 있는 상태다.

대선 때마다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온 충청권에서 향후 후보들의 공약을 보고 선택에 나서겠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현재 거론되는 대선 후보들 대다수가 충청 지역색이 옅기 때문이다.

대전역에서 만난 이 모씨(63)는 “주변에서 경제가 IMF 때보다 힘들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나온다”며 “조기 대선의 대선 주자가 누가 됐든 더 좋은 대통령이 선출돼 물가를 안정화시키고 국민의 부담을 덜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슈가 불거지며 ‘세종 행정수도론’이 노무현 정부 이후 20여 년 만에 정치 무대 한가운데로 소환됐다. 이 때문에 충청 민심은 세종시의 행정 기능 강화를 위한 공약을 누가 어떻게 내거는지에 따라 풍향이 수시로 바뀔 가능성도 높아 보이는 상황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