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서 한미일 외교 회의
협상 여지 열어뒀다는 평가
협상 여지 열어뒀다는 평가

이날 외교부에 따르면 조태열 외교부 장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3자 회의를 열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세 나라는 회의 이후 공동성명을 통해 경제·산업·안보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3국은 원자력 안전·핵안보·비확산 기준을 준수하면서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선진 민간 원자로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도입하기로 했다. 각국의 원자력 관련 기술 역량을 투입해 선도적 원자력 기술을 함께 확보하자는 합의를 이룬 셈이다.
3국 장관은 또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 원유 등 에너지 자원을 활용하고 관련 기술에 기반해 에너지 안보·협력 방식을 상호 호혜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조선업 협력을 통해 해양 안보를 담보하고, 모두가 번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다짐했다.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정책 실현 파트너로 한국과 일본을 택한 모양새다.
조선업도 미국에는 한국이 가장 적합한 협력 파트너다. 미국은 중국의 해군력 증강에 맞서 군함을 유지·보수·정비(MRO)해야 하는데, 기술 역량 저하 등을 이유로 스스로 충당하기가 불가능하다. 미국의 동맹국 가운데 높은 수준의 함정 MRO가 가능한 국가는 사실상 한국이 유일하다.
앞으로 이뤄질 미국과의 상호관세 개별 협상에서 경제 협력 약속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외교부는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에게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동맹에 대한 함의 등을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상호관세 부과는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통상) 불균형을 재조정하기 위한 조치이며, 이제 새로운 협의를 하는 게 중요하다'는 취지로 설명했다고 알려졌다.
미국 측은 한일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세 나라는 이날 최근 대만 주변에서 이뤄진 군사훈련에 우려를 표시하며 "불안정을 가중하는 행위를 중단하라"면서 사실상 중국에 경고 메시지도 발신했다.
[김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