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이광우, 계엄 2시간 전 챗GPT에 ‘계엄’·‘국회해산’ 검색

배윤경 기자
입력 : 
2025-03-19 14:02:0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직전 챗GPT에서 '계엄'과 '국회해산'을 검색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본부장 측은 시간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법률대리인 배의철 변호사는 이 본부장이 비상계엄 발동 이후 검색했으며, TV를 통해 발표를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본부장 측은 포렌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오류를 강조하며, GPT 검색이 공무집행방해나 직권남용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변호인 측 “시간의 오차 있을 수 있어”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지난 1월 18일 오전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특수단)에 출석하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지난 1월 18일 오전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특수단)에 출석하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직전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에 ‘계엄’과 ‘국회해산’을 검색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본부장 측이 시간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 본부장 측 법률대리인 배의철 변호사는 19일 입장문을 통해 “이 본부장은 포렌식 과정에서 해당 내용을 검색한 시간은 비상계엄이 발동된 이후라고 진술했다”며 “TV를 보고 비상계엄 발표를 알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서에는 이 본부장이 계엄 선포 2시간 전에 챗GPT에서 ‘계엄’ 등을 검색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이 본부장이 사전에 계엄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이 본부장 측은 “포렌식 과정에서 인터넷 검색, 텔레그램, 카카오톡 같은 SNS 사용 등에 있어 시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가 발견됐고, 수사관 역시 포렌식 복원 과정에서 사용시간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판단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당 GPT 검색이 공무집행방해 내지 직권남용 피의사실과 아무 관련이 없을 뿐 아니라 인터넷·SNS 사용 시간의 오차가 생기는 포렌식 복원 오류를 지적하며 파일 선별 과정에서 제외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도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