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석방후 결집한 강성 반탄
장외투쟁 자제한 權·權 비판
탄원서불참 의원엔 문자폭탄
여권잠룡들 "불똥튈라" 눈치
장외투쟁 자제한 權·權 비판
탄원서불참 의원엔 문자폭탄
여권잠룡들 "불똥튈라" 눈치

14일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모두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다"며 "윤 대통령 수호에 동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강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탄핵 반대 운동에 나서지 않는 당 지도부를 향한 불만이 분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강성 지지층이 모인 단체 대화방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각하 탄원서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여당 의원 26명의 명단이 공유돼 이들에게 '문자 폭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탄원에 동참하지 않은 지도부 의원은 "탄원서에 왜 이름을 올리지 않았냐는 지역구민의 비난 문자가 쇄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을 앞둔 상황에서 중도파와 강경파 양쪽을 의식한 지도부는 '압력을 견뎌야 한다'는 기조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잠룡들도 이런 분위기를 읽어 대권 행보를 눈에 띄게 줄이고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촉각을 세우는 기류가 읽힌다. 섣불리 조기 대선 행보에 나섰다가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뚜렷한 탄핵 반대를 천명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윤 대통령이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후 차분하게 선고 결과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대선 행보를 본격화하는 대신 저서 출간 날짜를 저울질 중이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역시 지난 10일 부산 북콘서트를 끝으로 공식 일정을 자제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공당이라면 (탄핵) 인용 결정에 대비해 준비는 해야 된다"며 대권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권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이 대표는 29번의 줄탄핵에 대해 잘못을 시인했다"며 △민주당 탄핵 남발 및 입법 독주 대국민 사과 △한덕수 국무총리와 박성재 법무부 장관 탄핵 철회 △감사원 예산 60억원·검찰 예산 589억원 복원을 요구했다.
[진영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