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한국어 할 줄 아는 이 남자…‘트럼프 정부’ 동아시아 담당 차관보 맡았다

김상준 기자
입력 : 
2025-03-13 06:58:0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에 한국계 부인을 둔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대사를 지명했다.

디솜버 전 대사는 아시아 경제 및 통상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물로, 한미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의 차관보 임명은 트럼프 2기 한반도 정책 인선의 마무리로, 관련 업무는 기존의 실무진과 함께 수행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마이클 디솜버 전 태국 주재 美대사
로펌에서는 韓기업 M&A 등 총괄
한국계 아내와 함께 슬하 자녀 4명
트럼프, ‘한반도 인선’ 마무리 수순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EAP) 차관보에 지명된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미국대사(왼쪽에서 세 번째)의 가족사진.  [사진 = 마이클 디솜버 SNS]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EAP) 차관보에 지명된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미국대사(왼쪽에서 세 번째)의 가족사진. [사진 = 마이클 디솜버 SN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EAP) 차관보에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대사를 지명했다. 아시아 경제·통상 분야 법률 전문가인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 기업들과 비즈니스를 했던 경험이 있는 데다 한국계 부인을 두고 있는 ‘한국 사위’다. 외교가는 이 같은 이력이 향후 한미 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하는 분위기다.

1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디솜버 전 대사가 차기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지명됐다는 사실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적었다. 한국을 포함해 북한, 일본, 중국 등과 관련한 외교 실무를 총괄하는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미국 상원에서 인준을 받은 뒤 공식 임명된다.

디솜버 전 대사는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출신으로 스탠퍼드대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와 동아시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석사 논문 주제는 ‘중국의 핵무기 전략’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버드대 로스쿨을 우등(마그나 쿰 라우데)으로 졸업한 뒤 법무법인 설리번앤드크롬웰 소속 변호사로 활동했다. 디솜버 전 대사는 1997년 홍콩으로 이주해 한국,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공공과 민간 인수·합병(M&A) 거래 등 업무를 총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말기인 2020년 3월부터 이듬해 초까지 태국 대사를 지냈다.

마이클 디솜버 [사진 = 연합뉴스]
마이클 디솜버 [사진 = 연합뉴스]

특히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과 인연이 깊다. 한국계 아내와 결혼한 디솜버 전 대사는 슬하에 2남2녀를 두고 있다. 부인인 진 디솜버는 한국과 연계된 헬스케어 사업을 한 경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내 덕분에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어를 일상 대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솜버 전 대사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지명되면서 트럼프 2기 한반도 정책 인선은 대북정책특별대표 자리를 제외하고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 국무부 내에서는 트럼프 1기 때 미·북 협상 실무를 맡았던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 케빈 김 동아태 부차관보가 디솜버 전 대사와 함께 한반도 관련 업무를 담당할 전망이다.

백악관에서는 앨릭스 웡 수석 국가안보 부보좌관, 윌리엄 보 해리슨 운영 담당 부비서실장, 리처드 그리넬 특별임무대사 등이 한반도·대북 정책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윙 부보좌관은 트럼프 1기 때 대북특별 부대표로서 미·북 정상회담에 관여했다. 해리슨 부비서실장도 미·북 정상회담 실무를 맡았었다. 북한 등을 담당하는 그리넬 특임대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8년 동안 일하며 북한을 상대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