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트럼프 정부 한반도 담당 차관보에 …'한국사위' 디솜버

김상준 기자
입력 : 
2025-03-12 17:42:39
수정 : 
2025-03-12 19:46:5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에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대사를 지명했다.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계 부인을 두고 있으며, 한국 기업과의 비즈니스 경험으로 한미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그는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고, 트럼프 2기 한반도 정책 인선이 마무리되는 가운데 한반도 업무를 담당할 주요 인물로 여겨지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韓·中·日 관련 외교 실무 총괄
한국어로 일상적인 대화 가능
아내는 한국계 벤처기업인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에 지명된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미국대사(왼쪽 셋째)와 가족들. 디솜버 전 대사의 오른쪽 여성은 한국계 아내인 진 디솜버. 디솜버 SNS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에 지명된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미국대사(왼쪽 셋째)와 가족들. 디솜버 전 대사의 오른쪽 여성은 한국계 아내인 진 디솜버. 디솜버 SN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EAP) 차관보에 마이클 디솜버 전 주태국 미국대사를 지명했다. 아시아 경제·통상 분야 법률 전문가인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 기업들과 비즈니스를 했던 경험이 있는 데다 한국계 부인을 두고 있는 '한국 사위'다. 외교가는 이 같은 이력이 향후 한미 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하는 분위기다.

1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디솜버 전 대사가 차기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지명됐다는 사실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적었다. 한국을 포함해 북한, 일본, 중국 등과 관련한 외교 실무를 총괄하는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미국 상원에서 인준을 받은 뒤 공식 임명된다.

디솜버 전 대사는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출신으로 스탠퍼드대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와 동아시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석사 논문 주제는 '중국의 핵무기 전략'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버드대 로스쿨을 우등(마그나 쿰 라우데)으로 졸업한 뒤 법무법인 설리번앤드크롬웰 소속 변호사로 활동했다. 디솜버 전 대사는 1997년 홍콩으로 이주해 한국,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공공과 민간 인수·합병(M&A) 거래 등 업무를 총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말기인 2020년 3월부터 이듬해 초까지 태국 대사를 지냈다.

특히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과 인연이 깊다. 한국계와 결혼한 디솜버 전 대사는 슬하에 2남2녀를 두고 있다. 아내인 진 디솜버는 하버드대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고 홍콩과기대에서 MBA 과정을 마친 기업인이며 현재 성균관대 경영대학원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진 디솜버는 한국과 연계된 헬스케어 사업을 한 경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디솜버 전 대사는 한국어를 일상 대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솜버 전 대사가 동아태 차관보로 지명되면서 트럼프 2기 한반도 정책 인선은 대북정책특별대표 자리를 제외하고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 국무부 내에서는 트럼프 1기 때 미·북 협상 실무를 맡았던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 케빈 김 동아태 부차관보가 디솜버 전 대사와 함께 한반도 업무를 담당할 전망이다. 백악관에서는 앨릭스 웡 수석 국가안보 부보좌관, 윌리엄 보 해리슨 운영 담당 부비서실장, 리처드 그리넬 특별임무대사 등이 한반도·대북 정책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김상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