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1600여 명 방위산업 컨트롤타워…첨단국방과학도시 도약
공무원 1600여 명 대전 이전 근무
![방사청 대전 신축 청사 조감도.[자료=방위사업청]](https://pimg.mk.co.kr/news/cms/202503/11/news-p.v1.20250311.aff1d5ab1ddb4f3eaff2bc50a962f123_P1.jpg)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이 대전 신축 청사 첫삽을 뜨고 대전 시대의 출발을 알렸다.
이번 신축 청사가 2028년 상반기 건립되면 과천청사에 남아 있는 직원을 포함해 공무원 1600여 명이 모두 대전으로 이전해 근무하게 된다.
대전시는 11일 정부대전청사 서북녹지에서 방위사업청 기공식이 개최됐다고 밝혔다. 이날 기공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석종건 방위사업청장,국방 관련 단체 및 방산기업, 시민 등 총 300여 명이 참석했다.
242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방사청 대전 신청사는 지하 2층에 지상 21층, 연면적 5만9738㎡ 규모로 건립되며 2028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한다.
2022년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공약이자 정부 국정과제로 확정된 방사청 이전은 2023년 6월 지휘부 등 주요 부서 직원 238명이 대전 서구 옛 마사회 건물로 1차 이전을 완료하면서 본격화됐다.
![11일 대전 서구 둔산동 정부대전청사 서북쪽 녹지에서 열린 방위사업청 기공식에서 내외빈들이 시삽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https://pimg.mk.co.kr/news/cms/202503/11/news-p.v1.20250311.ab2872857a79457ab43dedf8afe56de4_P1.jpg)
올해 기준 예산 18조원의 방위사업청 이전이 완료되면 대전은 첨단국방과학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다지게 될 전망이다.
국방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한 대전시는 현재 방산혁신클러스터사업을 통해 대전을 드론특화형 도시로 육성하고 있다.
국비 등 490억 원을 투입해 드론 분야 혁신 기술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와 창업 등에 지원한다. 민선 8기 들어서는 K-방산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통해 시비 20억 원을 들여 강소기업의 기술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방위사업청과 협력해 국방 반도체 국산화를 목표로 국방반도체센터를 설립하고 지난해 9월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이는 대전이 첨단 방산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초석이 될 전망이다.
대전 방위산업의 새로운 중심축이 될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조성도 추진된다.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그린벨트(GB) 해제 등 행정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내년에는 지역 국방 드론·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로봇드론지원센터도 완성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대전투자금융은 2030년까지 자본금을 5000억원으로 늘려 지역 방산 벤처기업들의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석 청장은 “방사청의 대전 이전이 K-방산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과학도시 대전의 성장과 발전에도 큰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대전시민의 염원인 방사청과 한 가족이 되는 뜻깊은 시간”이라며 “방사청이 대전을 발판 삼아 K-방산 육성, 세계 4대 방산강국을 향한 도전을 힘차게 이어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