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 없음.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임.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07/news-p.v1.20250307.9a02d84775f14811aa3602fe91beab1f_P1.png)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7일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한 정부 수용안에 “복귀하지 않으면 5058명? 괘씸죄도 아니고, 학생들을 상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사기와 협박뿐”이라고 비판했다.
박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스승의 위선, 새로운 내용은 없다. 입장을 낼 가치도 없는 것 같지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교육부의 대책은 또 5.5년제”라며 “상식적으로도 7500명 교육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후배들에게 더 나은 교육 한경을 물려줘야 할 텐데, 학장이라는 자는 오히려 정부 권력에 편승해 제자들을 시궁창에 빠뜨리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비상대책위원장은 “7500명 학생들을 어떻게 교육할지 대안도 없이, 내년 신입생 선발부터 걱정하는 모습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결국 정부 마음대로 총장 마음대로”라면서 “되겠냐”라고 글을 마무리지었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후 의대생 3월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 및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제안한 교육 모델에 기반해 각 의대가 계획을 수립하면 이를 지원하는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KAMC)는 24학번이 25학번보다 한 학기 먼저 졸업해 5.5년만에 졸업하는 모델 3개와 2030년 2학기 이후 두 학번이 동시 졸업하는 모델 1개를 제안했다.
그동안 의협은 올해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의대 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지난해 의대 증원에 반대해 휴학한 의대생과 신입생이 올해 한꺼번에 수업을 듣게 되면 학생 수는 기존의 2배가 넘는 7500명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정부 방안을 비판하는 입장을 냈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입장문에서 “학생들이 안 돌아오면 5058명을 뽑겠다고 협박한 것”이라며 “24·25학번은 언젠가 동시에 임상과 실습을 해야 하는데 학교에 교육 여건이 마련돼 있느냐. 결국 그 무엇도 해결되지 않은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