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 올림픽 유치준비 본격화
정부 승인·IOC 심사절차 남아
인도·카타르·사우디와 경쟁
'지역 연대' 강점으로 내세워
대구·전남 등과 협력 구체화
국제 스포츠외교 활동도 강화
정부 승인·IOC 심사절차 남아
인도·카타르·사우디와 경쟁
'지역 연대' 강점으로 내세워
대구·전남 등과 협력 구체화
국제 스포츠외교 활동도 강화

4일 전북도는 올림픽 유치를 총괄할 전담 조직을 신속히 구성하고, 문화체육관광부·기획재정부 등 중앙 부처와 협력해 행정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며 올림픽 유치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 전남·광주, 충청권, 대구 등 연대 도시와의 협력을 구체화하고, 국제 무대에서 전북의 강점을 적극 알릴 방침이다. 전북도는 이번 올림픽 유치 도전이 단순한 스포츠 행사 유치를 넘어, 대한민국의 국가 균형 발전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보고 있다.
국민의 지지와 공감대 형성은 국제 무대에서 올림픽 유치를 설득하기 위한 기본 토대다. 이를 위해 전북도는 다양한 홍보 캠페인을 전개하고, 지역민과 체육계의 적극적인 지지와 참여를 유도해 유치 분위기 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문화올림픽을 지향하며, 지역의 전통과 현대적 스포츠 인프라스트럭처를 접목한 차별화된 유치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경기장 시설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강조하는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올림픽' 비전에 부합하도록 호남, 영남, 충청을 아우르는 '지역 도시 연대'와 기존 스포츠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강조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대회 유치를 위해 무주의 태권도원과 전주월드컵경기장을 중심으로 대회를 운영하되 대구(대구스타디움), 광주(국제양궁장·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충남 홍성(충남 국제테니스장), 충북 청주(청주 다목적실내체육관), 전남 고흥(남열해돋이해수욕장) 등에서 분산 개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전북도는 연내 정부의 승인을 받은 뒤 대한체육회와 함께 본격적인 유치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은 오는 6월 23일 IOC 차기 위원장 선거 이후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뛰어든 나라는 인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튀르키예, 이집트 등 10여 개국에 이른다.
남은 일정은 IOC 심사다. IOC의 개최지 선정은 '올림픽 미래유치위원회(FHC)'가 주도하는 4단계 절차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비공식 대화 단계다. 전북도는 유치의향서를 IOC에 발송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가며 국제적인 지지를 확보해야 한다. 지속 대화 단계에서는 올림픽 유치질문지에 대한 답변을 제출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북의 강점을 효과적으로 어필하는 것이 핵심이다. 집중 대화 단계에 접어들면 IOC 미래유치위원회가 본격적인 평가를 진행한다. 전북도는 이 과정에서 시설, 인프라, 개최 능력 등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내야 한다.
마지막으로 IOC 집행위원회는 미래유치위원회의 최종 평가 보고서를 검토한 뒤 한 곳 이상의 우선협상도시를 선정한다. 이후 개최지 선정 투표를 거쳐 최종 개최지를 결정한다. 전북도는 국제 스포츠 외교 활동을 적극 강화하며 IOC 위원들과의 접촉을 확대할 계획이다. 주요 전략에는 △올림픽 개최지로서의 강점을 세계에 홍보 △IOC 및 국제 스포츠 기구와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여론 조성을 위한 대대적 홍보 캠페인 등이 포함된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 도시 선정은 전북도민 모두의 승리"라며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올림픽 개최 도시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송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