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오세훈 “한동훈과 연대설? 왜 나오는지 도저히 이해 안 돼”

이상현 기자
입력 : 
2025-02-13 19:10:21
수정 : 
2025-02-13 19:11:3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자신과 한동훈 전 대표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연대설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두 사람의 지지층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연대하는 것보다 서로 다른 지지층과의 협력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준석 의원 및 김문수 장관에 대한 질문도 모두 일축하며 조기 대선에 대한 언급은 아직 이르다고 덧붙였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7월 5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오른쪽)가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동행식당에서 만나 조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지난해 7월 5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오른쪽)가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동행식당에서 만나 조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조기 대선 상황이 치러질 경우 자신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연대할 수 있다는 정계 일각의 전망에 대해 “왜 연대설이 나오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선을 그었다.

오 시장은 13일 오후 MBN ‘뉴스와이드 미니인터뷰’에서 ‘오 시장과 한 전 대표가 잠재적으로 지지층이 겹친다. 그래서 연대설, 이런 이야기를 꺼내는 목소리가 있다’는 진행자의 질문에 “지지층이 겹친다는 데도 동의할 수 없지만, 지지층이 서로 겹친다고 해도 연대 안 한다”며 이같이 답변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지지층이 겹치지 않는 사람들이 연대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나는 게 아닌가”라고 되물었다.

오 시장은 또 “한 전 대표가 국민의힘 대표가 된 게 작년 여름이었다. 그 이후에 식사 한 번, 차 한 번, 전화 한 번 한 적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엊그제 한 전 대표 쪽을 대표하는 모 패널이 저희(서울시) 참모 중에 누가 서울시장 아이디어를 냈다, 이런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며 “어제오늘 확인해봤다. 그렇게 말한 참모는 없다” 고 강조했다.

또 “제가 (참모들에게) 아주 단호하게 얘기했다. 그건 정말 큰 결례”라며 “한 전 대표는 대선을 생각하시는 분인데 그런 분에게 서울시장 얘기를 하면 그런 큰 결례가 어디 있나”라면서 “지나가는 말로라도 그런 말은 안 하는 게 좋겠다고 우리 참모들한테 아주 단호하게 지시했다. 연대설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부연했다.

지난해 7월 5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오른쪽)가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동행식당에서 만나 조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지난해 7월 5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오른쪽)가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동행식당에서 만나 조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오 시장은 또 조기 대선 상황을 전제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협력적 관계가 될 가능성이 있는가’라는 물음에도 “당을 달리하거니와 그리고 (이 의원이) 대선에 출마를 이미 사실상 선언했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을 두고 “크게 결례되는 이야기다. 그건 최대한 열심히 뛰시는 게 맞고, 또 그럴 만한 역량이 있는 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여권에서 잠재적 대권 주자 중 지지율 1위를 기록 중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해서는 “저도 마음속으로 존경하는 분이다. 당연히 지지율이 높이 나올만하다”면서도 “아직 대선 국면이 아닌데 그런 지지율 갖고 논하는 게 너무 이르기 때문에 되도록 언급은 자제해야 할 상황”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또 “(김 장관은) 일을 대하는 마음가짐이나 이런 것들이 굉장히 담백하고 맑은 분”이라며 “제가 16대 때 국회에 들어와서 ‘미래 연대’라는 걸 했는데 그때 저희 모임에 사실상 멘토 역할도 해주셨다. 정말 존경하고 좋아하는 분”이라고도 치켜세웠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