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내란국조특위 첫 출석
여당, 탄핵심판 공정성 지적에
한덕수 "국민 납득 못할땐 분열"
이진우 "계엄 적법" 발언에 고성
여당, 탄핵심판 공정성 지적에
한덕수 "국민 납득 못할땐 분열"
이진우 "계엄 적법" 발언에 고성

6일 국회에서 열린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는 한 총리뿐 아니라 최 권한대행,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등이 증인으로 나섰다. 최 권한대행이 특위 청문회에 나온 것은 처음이다. 수석 증인석에 직무정지 상태인 한 총리 대신 부총리인 최 권한대행이 앉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야당은 최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고 있다며 질타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헌법소원이 인용되면 따르겠냐"며 포문을 열었다. 최 권한대행은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당시엔 여야 합의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지금이라도 합의하면 임명하겠다"고 말했다.
계엄 쪽지와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에 대한 질의도 쏟아졌다. 최 권한대행은 "쪽지 형태로 받았기 때문에 내용은 보지 못했으며 기재부 차관보에게 가지고 있으라고 줬다"고 말했다. 추후 확인해보니 계엄 문건이라는 점을 인지해 무시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쪽지에는 △예비비 확보 △국회 자금 차단 △비상입법기구 예산 편성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고 한다. 이를 놓고 최 권한대행은 "(실현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짚었다. F4 회의도 쪽지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쪽지 전달 과정을 놓고선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추 의원이 "윤석열이 '상목아'라고 부르면서 참고하라고 말했느냐"고 물었기 때문이다. 발끈한 최 권한대행은 "기재부 장관이라고 불렀다"며 "사실대로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사령관이 12·3 비상계엄은 적법하다고 할 때도 소란이 일었다. 그는 "저같이 야전에 있는 군인이 대통령·장관 명령이 위법이라 생각해서 반기를 드는 것이 쿠데타"라고 말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탄핵심판 공정성을 문제 삼았다. 한 총리도 동의했다. 그는 "헌재 판결은 공정해야 하고 절차적 정당성과 상식에 맞아야 한다"며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을 임명할 수 있느냐는 논쟁부터 시작해서 국민이 납득할 판결이 아니면, (일어날 수 있는) 국민 분열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청문회에 처음 나선 정 실장도 잇따른 탄핵을 지적했다. 정 실장은 "(계엄령은) 입법권이 남용·남발되고 삼권분립을 근간으로 한 헌정 질서가 위기에 처했다는 인식이 발동 계기가 됐을 것"이라며 "탄핵이 남발되고 국정 차질이 야기되는 상황은 매우 걱정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성승훈 기자 / 최희석 기자 / 구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