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속보] 검찰, 전국 고·지검장 회의 개최…尹대통령 사건 처리 논의

김민주 기자
입력 : 
2025-01-26 09:59:20
수정 : 
2025-01-26 10:37: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찰은 윤석열 대통령 사건의 처리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26일 전국 고·지검장 회의를 개최했다.

윤 대통령의 구속 기간이 오늘 27일에 끝나는 가운데, 검찰은 구속기소 또는 석방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으로 큰 부담을 안고 있다.

특히, 검찰이 윤 대통령을 구속기소할 경우 대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공소를 유지해야 하며, 이는 정치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검찰, 전국 고·지검장 회의 개최.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검찰, 전국 고·지검장 회의 개최.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검찰이 윤석열 대통령 사건의 처리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26일 전국 고·지검장 회의를 열었다.

대검찰청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송부한 윤 대통령 사건의 처리 방안과 관련해 대검에서 심우정 검찰총장 주재하에 대검 차장 및 부장, 전국 고·지검장이 참여하는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구속 기간이 하루 앞으로 다가와 대면조사 한번 없이 구속기소 하거나 석방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가운데,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지휘부 의견을 모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의 1차 구속기간은 오늘 27일에 끝난다.

지난 23일 윤 대통령 사건을 공수처에서 넘겨받은 검찰은 서울중앙지법에 두 차례에 걸쳐 구속 기간 연장을 신청했지만, 법원은 허가하지 않았다.

이에 검찰은 윤 대통령을 구속기소 할지 석방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

검사가 피의자를 구속한 때에는 10일 이내에 기소하지 않으면 석방해야 한다.

검찰이 어떤 결론을 내리든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검찰이 윤 대통령을 구속기소 할 경우 피의자에 대한 대면조사 한 번 하지 못한 채 공소 유지를 해야 한다.

검찰은 앞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계엄권 사령관 등 10명을 구속기소 하며 물적 증거와 진술을 확보한 상태이지만, 정점으로 지목된 윤 대통령의 피의자 신문 조서는 만들 기회조차 없었다.

검찰은 유죄 입증을 위해 강제 수사 등을 통한 추가 증거를 확보할 기회도 얻지 못했다.

검찰이 이대로는 공소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윤 대통령을 석방할 경우 비판 여론이 거세져 정치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같은 혐의로 재구속하기는 어려운 만큼 이 경우 윤 대통령을 불구속기소 할 수밖에 없는데,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계엄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기소 된 공범들과의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