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단독] ‘中스파이 체포설’ 확산에…주한미군 이어 美국방부도 ‘일축’

이상현 기자
입력 : 
2025-01-21 09:46:56
수정 : 
2025-01-21 16:19: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미 군 당국은 비상계엄 당시 중국인 간첩이 체포되었다는 주장에 대해 미국 국방부가 "완전한 거짓"이라고 공식 부인했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은 이러한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책임 있는 보도와 사실 확인을 촉구하며, 한반도의 안정과 안보 유지에 전념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 사건은 윤석열 대통령 측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서 부정선거 의혹 제기에 이용되고 있어, 주한미군의 공식 입장이 변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지난 2022년 3월 3월 공중에서 촬영한 미 국방부 청사(펜타곤) 모습. [사진 출처 =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2022년 3월 3월 공중에서 촬영한 미 국방부 청사(펜타곤) 모습. [사진 출처 = 로이터, 연합뉴스]

한미 군 당국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경기도 수원 선거관리연수원에서 중국인 간첩들을 대거 체포해 주일미군기지로 압송했다는 주장에 대해 미국 국방부 역시 선을 그었다.

존 서플 미 국방부 대변인은 21일 해당 의혹과 관련한 매경닷컴의 질의를 일축하며 “주한미군의 성명을 참고해달라”고 답변했다. 주한미군과 미 국방부 간에 입장 차가 전혀 없음은 물론, 해당 의혹이 ‘완전한 거짓’이라는 데 힘을 싣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국내 인터넷 매체 ‘스카이데일리’는 지난 16일 익명의 ‘미군 정보 소식통’을 인용,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이 미군과 공동작전으로 선거연수원을 급습해 중국 국적자 99명의 신병을 확보했으며, 이들이 평택항을 거쳐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로 이송됐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이 해당 작전에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고도 소개했다. 또 이틀 뒤인 18일에는 체포된 중국인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댓글 조작 방식으로 한국 내 여론조작에 관여했음을 미 정보당국에 자백했다고 후속 보도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중국 스파이 체포설’과 관련해 전날 “한국 매체 기사에서 언급된 미군의 묘사와 주장은 ‘완전한 거짓’”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2차 변론기일인 지난 16일 오후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들어서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2차 변론기일인 지난 16일 오후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들어서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어 “주한미군은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한반도의 안정과 안보를 유지하는 임무에 전념하고 있다”며 “주한미군은 국민의 신뢰를 해칠 수 있는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책임 있는 보도와 사실 확인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과 미 국방부가 특정 보도에 대해 ‘완전한 거짓’이라며 공식 입장을 표명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해당 기사는 내란 수괴(우두머리) 등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서 이른바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근거로 쓰였다.

2차 변론기일이었던 지난 16일 윤 대통령 대리인단의 배진한 변호사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 중 하나로 부정선거 의혹을 꼽으며 “윤 대통령은 이 부분(부정선거)에 대해서 굉장히 의심을 품었다”며 “의혹을 밝히는 것은 대통령의 당연한 책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주한미군과 미 국방부가 공식 부인한 만큼 윤 대통령 측 변론에도 영향이 일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국방부 관계자 역시 이날 매경닷컴과 통화에서 “주한미군에서 이미 ‘(기사 내용이) 거짓이다.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며 별도 입장은 없다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