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탄핵 바람 속에서 소문 퍼 나르는 野…역풍 우려도

성승훈 기자
입력 : 
2025-01-10 15:10:5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탄핵 바람'을 일으키며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자성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이 헌법재판소에 대한 압박을 제기하면서 야당의 주장에 대한 반박이 있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강경 발언과 실수로 인해 지지율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민주당 중진 의원들은 상황이 어려울수록 책임 있는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與 지지율 올랐지만 野는 하락세
친명 중진 “전략적 인내 필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탄핵 바람’을 타고 국회를 휩쓸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계엄·탄핵 정국에서 세밀한 검증을 마치지 못한 설(說)을 섣부르게 꺼냈기 때문이다. 보수층이 재결집하는 가운데 중도층이 등을 돌리자 민주당 내부에선 자성론이 제기됐다.

10일 민주당 지지율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당 지지율은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겪었는데도 반등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당내에선 실수와 강경 메시지가 잇따랐기 때문이라 보고 있다. 탄핵심판 속도를 높이려다 헛발질을 하며 중도·진보층을 모두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내란죄 철회 해명 △윤석열 도주 의혹 △여당의 재판 압박 의혹 등을 놓고 자성론이 나온다. 특히 친명(親明) 중진들이 반성하고 있다. 김영진 의원은 SBS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략적 인내를 통해 국민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며 “더 큰 위험으로 나가지 않게끔 관리가 필요한 시기”라고 지적했다.

① 헌재 탄핵 사유 변경 권유
② 尹 대통령 관저 도주 의혹
③ 與 헌재 방문으로 재판 지연

앞서 국회 탄핵소추단은 “헌법재판소가 권유하신바”라며 소추 사유를 변경했다. 내란죄가 아닌 ‘내란 행위’ 위헌성을 따져달라는 취지였다. 헌재가 먼저 권유했다고 주장한 게 문제였다. 야당에선 정당한 소송지휘권 행사였다는 논리를 내세웠으나 헌재가 “그런 사실이 없다”고 일축했다.

지난 8일엔 윤 대통령이 관저에서 도망쳤다는 의혹도 나왔다. 안규백 의원이 “용산을 빠져나와 제3의 장소에 도피해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실에선 즉각 부인했고 윤 대통령이 관저를 거니는 영상이 공개됐다.

국민의힘이 헌재에 압박을 가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가 빈축을 사기도 했다. 같은날 김용민 의원은 헌재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압박에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재해 감사원장의 탄핵심판 절차를 개시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헌재는 “사실과 전혀 다른 주장”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이어 “감사원장 탄핵심판 변론준비기일은 지난해에 이미 고지됐으며 국무총리 탄핵사건 변론준비기일도 지난 2일에 기일 통지가 이미 됐다”고 설명했다.

당내에선 정제되지 않은 메시지가 쏟아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윤석열은 사형 선고를 받을 것”이라 말했다. 이성윤 의원도 “총 맞더라도 들어가야 한다”고 말하면서 설화를 일으켰다.

야당 중진 의원은 매일경제 통화에서 “국정이 혼란스러울수록 제1당으로서 차분하게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확인되지 않은 의혹을 섣불리 제기하고 강한 발언을 하면 강성 지지층 외에는 등을 돌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원내지도부 경험이 있는 야당 의원도 “지금은 내란·탄핵 국면이라서 민주당에서 사소한 실수나 강경 발언이 나오더라도 어느 정도 용인된다”면서도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어서까지 이같은 기조가 이어진다면 대선 승리가 생각만큼 간단하진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