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윤 대통령, 권한행사 계속…국회에 대법관 임명동의안 제출

이상현 기자
입력 : 
2024-12-13 11:31:5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에 대법관 임명동의안을 제출했다.

이는 앞서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사과 후 국정을 당과 정부에 일임한다고 밝힌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후임 대법관으로는 중도적 입장에서 재판을 진행한다는 평가를 받는 마용주 후보자가 지명됐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는 모습. [사진 출처 = 대통령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는 모습. [사진 출처 = 대통령실, 연합뉴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퇴진 요구를 거부한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에 대법관 임명동의안을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전날 국회에 ‘대법관 마용주 임명동의안’을 제출하고 “대법관 임기 만료에 따라 다음 사람을 후임 대법관으로 임명하고자 국회의 동의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전날 담화를 통해 퇴진 요구를 거부한 윤 대통령이 법률안·시행령안을 재가한 데 이어 대법관 임명 동의를 요청하는 등 권한 행사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대법관은 헌법 제104조 제2항에 의거,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비상계엄 사태에 사과한 뒤 국정을 당과 정부에 일임한다고 밝혔으나, 이후 국무회의 안건을 재가하는 등 인사권·행정권을 지속해서 행사 중이다.

지난 12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담화를 TV로 보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 12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담화를 TV로 보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앞서 조희대 대법원장은 오는 27일 퇴임하는 김상환 대법관의 후임으로 서울고법 부장판사인 마용주(55·사법연수원 23기) 후보자를 지난달 26일 윤 대통령에게 임명제청한 바 있다.

경남 합천 출생인 마 후보자는 부산 낙동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지법 판사로 임관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대법원 선임재판연구관에 이어 대법원 사건 검토를 총괄하는 수석재판연구관을 지냈다.

법리에 밝고 상고심 재판에 해박한 대표적 엘리트 법관으로 꼽힌다. 법원행정처 인사심의관·윤리감사관도 지내 사법행정 업무에도 밝다는 평이다. 마 후보자는 법관 생활에서 특별한 성향을 드러내지 않고 중도적 입장에서 재판 진행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퇴임하는 김상환 대법관이 ‘진보’ 성향으로 분류되는 만큼 기존의 대법원 지형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무게 중심축이 중도·보수 축으로 조금 더 옮겨가게 될 전망이다.

대법원은 대법원장과 13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된다. 전원합의체는 재판에 참여하지 않는 법원행정처장을 뺀 대법관 12명과 대법원장이 가동한다. 현 대법관 중 윤 대통령이 임명한 인원은 8명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