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尹, 의원들 끌어내기 지시한 적 없다”…탄핵·수사 대응 나선 대통령실

우제윤 기자
입력 : 
2024-12-11 21:07:1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통령실은 12·3 비상계엄 당시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발언을 반박했다.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당시 계엄사령부 등을 통해 '국회 관계자들의 국회 출입을 막지 말고 들여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하며 두 입장이 완전히 달라 진실공방이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자진 하야 대신 강제수사와 탄핵심판에 무게를 두고 대비를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칩거하며 탄핵·내란수사 대비
김홍일 석동현 등 변호인단 합류
대통령실 청사. [매경DB]
대통령실 청사. [매경DB]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당시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는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발언을 반박했다.

윤 대통령이 향후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과 내란죄 수사에 대비해 변호인단을 꾸리는 등 하야보다는 법정 공방을 바쁘게 준비하는 정황도 감지됐다.

11일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당시 계엄사령부 등을 통해 ‘국회 관계자들의 국회 출입을 막지 말고 들여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전날 곽 사령관의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발언과는 맥락이 완전히 다른 해명인 셈이다.

이 관계자는 “국회 본회의에서 계엄 해제 요구 안건이 심의되는 과정을 전 국민이 방송을 통해 지켜보고 있었는데, 어떻게 군이 들어가서 끌어낼 수 있었겠냐고 했다”고 전했다.

곽 사령관과 대통령실이 하루 새 완전히 다른 입장을 내놓으며 윤 대통령의 불법적인 군사작전 지시 여부를 두고 진실공방이 펼쳐지는 모양새다. 이를 두고 윤 대통령이 자진 하야 대신 강제수사와 탄핵심판에 무게를 두고 대비를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새벽 윤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를 건의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되고,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이 긴급 체포되면서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망이 윤 대통령을 향해 좁혀오는 형국이다.

다만 경찰은 이날 법원에서 영장을 발부받아 대통령실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이는 윤 대통령에게 불리한 진술을 방어하고 압수수색을 거부하며 권력 유지를 위한 ‘장기전’에 대비하겠다는 대통령실의 포석으로도 읽힌다.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은 이양수 의원이 지난 1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비공개 회의를 진행한 뒤 나오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은 이양수 의원이 지난 1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비공개 회의를 진행한 뒤 나오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반면 계엄 사태 이후 자중지란에 빠진 여당은 전날 ‘2월 퇴진·4월 대선’ 또는 ‘3월 퇴진·5월 대선’ 등 로드맵을 논의 중이지만 단일 안 마련에 실패하며 어수선한 상황이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해 “대통령 본인이 법정 다툼을 통해서라도 한번 해보겠다는 생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같은 당의 김종혁 최고위원도 SBS라디오에서 “개인적으로 용산에 있는 관계자들과 접촉한 바에 따르면 어떤 경우든 하야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완강한 용산 기류를 전했다.

다만 여당이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을 제시했음에도, 윤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고 탄핵심판에 맞설 방침을 굳힌다면 여론의 극렬한 저항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윤 대통령이 지난 7일 담화를 통해 “임기 문제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밝힌 것을 스스로 뒤집는 격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 측은 검사 출신 김홍일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죽마고우인 석동현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등을 중심으로 변호인단 구성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 정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실 행정관 출신 변호사나 중견 법무법인 등도 사건 수임을 제안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