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일 석동현 등 변호인단 합류
![대통령실 청사. [매경DB]](https://pimg.mk.co.kr/news/cms/202412/11/news-p.v1.20241211.56dcd89b670c483fb9e79a192005911f_P1.jpg)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당시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는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발언을 반박했다.
윤 대통령이 향후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과 내란죄 수사에 대비해 변호인단을 꾸리는 등 하야보다는 법정 공방을 바쁘게 준비하는 정황도 감지됐다.
11일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당시 계엄사령부 등을 통해 ‘국회 관계자들의 국회 출입을 막지 말고 들여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전날 곽 사령관의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발언과는 맥락이 완전히 다른 해명인 셈이다.
이 관계자는 “국회 본회의에서 계엄 해제 요구 안건이 심의되는 과정을 전 국민이 방송을 통해 지켜보고 있었는데, 어떻게 군이 들어가서 끌어낼 수 있었겠냐고 했다”고 전했다.
곽 사령관과 대통령실이 하루 새 완전히 다른 입장을 내놓으며 윤 대통령의 불법적인 군사작전 지시 여부를 두고 진실공방이 펼쳐지는 모양새다. 이를 두고 윤 대통령이 자진 하야 대신 강제수사와 탄핵심판에 무게를 두고 대비를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새벽 윤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를 건의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되고,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이 긴급 체포되면서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망이 윤 대통령을 향해 좁혀오는 형국이다.
다만 경찰은 이날 법원에서 영장을 발부받아 대통령실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이는 윤 대통령에게 불리한 진술을 방어하고 압수수색을 거부하며 권력 유지를 위한 ‘장기전’에 대비하겠다는 대통령실의 포석으로도 읽힌다.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은 이양수 의원이 지난 1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비공개 회의를 진행한 뒤 나오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412/11/rcv.YNA.20241210.PYH2024121002780001300_P1.jpg)
반면 계엄 사태 이후 자중지란에 빠진 여당은 전날 ‘2월 퇴진·4월 대선’ 또는 ‘3월 퇴진·5월 대선’ 등 로드맵을 논의 중이지만 단일 안 마련에 실패하며 어수선한 상황이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해 “대통령 본인이 법정 다툼을 통해서라도 한번 해보겠다는 생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같은 당의 김종혁 최고위원도 SBS라디오에서 “개인적으로 용산에 있는 관계자들과 접촉한 바에 따르면 어떤 경우든 하야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완강한 용산 기류를 전했다.
다만 여당이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을 제시했음에도, 윤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고 탄핵심판에 맞설 방침을 굳힌다면 여론의 극렬한 저항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윤 대통령이 지난 7일 담화를 통해 “임기 문제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밝힌 것을 스스로 뒤집는 격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 측은 검사 출신 김홍일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죽마고우인 석동현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등을 중심으로 변호인단 구성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 정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실 행정관 출신 변호사나 중견 법무법인 등도 사건 수임을 제안받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