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 직속 범국민 협의체’ 구성 제안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2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회세종의사당 건립위원회 2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409/30/rcv.YNA.20240927.PYH2024092707080001300_P1.jpg)
우원식 국회의장은 30일 최근 국회를 통과한 김건희 여사 특검(특검법)과 관련해서 윤석열 대통령이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과거에 진보와 보수를 불문하고 어떤 대통령도 본인의 가족이나 측근의 의혹에 대해서 그냥 넘어간 적은 없다”며 “대통령께서 국가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런 의혹은 털고 가는 게 맞는 것”이라고 밝혔다.
우 의장은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얼마큼 제대로 해 나가느냐하고 닿아 있다”며 “그런 문제는 정리하고, 국민적 의혹을 풀고 가야 국정 운영이 제대로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 입장에서는 ‘국회에서 제발 싸우지 말고 국민을 좀 편안하게 해 달라’는 건데 큰 싸움거리를 그대로 두면 대통령으로서는 굉장히 곤혹스러운 일 아닌가”라며 “이대로 끌고 가면 나머지 국민들의 진짜 요구를 들어주기 어려워진다”고 덧붙였다.
우 의장은 “지금처럼 (특검법-거부권)도돌이표가 계속되고 국회가 갈등하고 부딪히고 이렇게 하면 국민들의 국회에 대한 불신도 크지만 대통령 측근이나 가족의 문제 때문에 이런다면 국민의 눈높이가 맞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건희 여사의 대국민 사과 여부’에 대해서는 “대국민 사과는 제가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며 “중요한 건 국민적 의혹을 제대로 해소하고, 그래야 문제를 털고 갈 수 있다. 사과는 제가 언급할 문제는 아니다”고 언급했다.
우 의장은 “탄핵이라는 것은 명확한 위법사항이 있어야 되는 것 아니겠나”(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와 탄핵이) 직접 연결될지는 제가 언급할 문제는 아닌 것 같고 상황을 지켜봐야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7일 강득구 민주당 의원의 대관으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시민 단체 ‘촛불승리전환행동’이 ‘탄핵의 밤’을 개최한 것과 관련해서 ”(강 의원 제명은) 여야 간에 논의를 해보시라“고 했다.
우 의장은 ”국회 사무처가 의정활동과 직접 관련이 없는 행사라거나 누구를 비방하는 행사는 안 해 줄 수 있는 규정이 있는데, 실제 대관을 통해서 사전 행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꼼꼼히 살펴보기는 좀 어렵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해서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여야 의원들이 논의를 할 테니까 정리한다거나 고칠 부분이 있으면 고치도록 사무처장에 지시해 놓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우 의장은 여야가 극명한 대치를 이어가고 있는 공영방송 이사선임과 관련해 ‘국회의장 직속 범국민 방송법 협의체’를 구성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방송 언론학자, 방송 현업 종사자, 시민단체 이렇게 해서 여야가 10명씩 추천해서 서로가 볼 때 부적절하다고 하는 사람은 5명씩 뺄 수 있도록 해 양쪽 동수 5명씩 하고자 한다”며 “국회의장이 위원장을 중립적인 분을 추천해 11명 정도로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을 해둔 상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