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식·정진석도 하마평
尹, 내각 인적쇄신 고심중
尹, 내각 인적쇄신 고심중
애초 비서실장 인선이 일요일인 이날 발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검증에 최소한의 시간은 필요하기 때문에 조금 시일이 걸릴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총선 결과가 나온 지난 11일에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이관섭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전원이 사의를 표명했기 때문에 후임 인선에 물리적으로 시간이 걸린다는 설명이다.
다만 비서실장 인선은 시급한 사안으로 꼽혀 이번주 안으로는 발표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윤 대통령을 보좌하며 내각과 대통령실 쇄신을 위한 인선 과정을 상의할 인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늦어도 이번주 내엔 (비서실장 인선에 대한) 발표가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비서실장 후보군으로는 인천 계양을에 출마했던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1순위로 거명된다. 낙선한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과 정진석 의원 등도 거론된다. 윤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장제원 의원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도 물망에 올랐다.
다만 야당의 반대가 걸림돌이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후임 대통령실 비서실장과 총리 하마평을 두고 "인물 면면을 볼 때 대통령이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엄중하게 받아들이는지 의문"이라며 "불통의 폭주가 계속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각에선 쇄신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정병국 전 의원 등 윤 대통령과 직접적 인연이 없는 정치인 출신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국회 동의를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차기 국무총리엔 주호영·권영세 의원 등 현역 의원들이 우선 거론되지만 당사자들은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다.
야권 출신인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과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 등도 검토될 수 있다. 윤석열 정부 초대 총리 하마평에 올랐던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 경제 전문가들도 다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번주 중으로 총선 패배와 관련한 메시지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대국민 담화, 국무회의 모두발언, 기자회견 등 여러 방안을 놓고 검토하는 상황이다.
[박윤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