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지금부터 죽을때까지 모아볼까”…FAANG은 잊고 DONDA 외우라는데

이영욱 기자
입력 : 
2025-01-01 13:46:4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사회 곳곳에 AI가 도입되는 가운데, FAANG에 이어 AI와 데이터 분석 분야에 초점을 맞춘 DONDA가 주목받고 있다.

DONDA에는 딥마인드, 오픈AI, 엔비디아, 데이터브릭스, 앤스로픽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AI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오픈AI의 영리화 움직임과 엔비디아의 GPU 점유율 90%는 AI 시대에서 이들 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딥마인드·오픈AI·엔비디아에
데이터브릭스·앤스로픽 추가
주식 시장과 AI 업계 선도할 듯
투자 유치해 막대한 자금 끌어 모아
FAANG에 이어 AI시대  DONDA가 주목받고 있다. DONDA는 딥마인드, 오픈AI, 엔비디아, 데이터브릭스, 앤스로픽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다. 사진은 생성형AI로 만든 모습. [챗GPT]
FAANG에 이어 AI시대 DONDA가 주목받고 있다. DONDA는 딥마인드, 오픈AI, 엔비디아, 데이터브릭스, 앤스로픽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다. 사진은 생성형AI로 만든 모습. [챗GPT]

우리 사회 곳곳에 AI(인공지능)가 속속 도입되는 가운데, 다가오는 AI시대에는 FAANG에 이어 DONDA가 부상할 전망이다.

FAANG은 글로벌 기술 산업을 주도하는 주요 기업들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로 메타(Facebook), 아마존(Amazon), 애플(Apple), 넷플릭스(Netflix), 알파벳(Google)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와 가상현실(VR) 기술부터 전자상거래, 하드웨어, OTT, 검색엔진,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를 망라하는 빅테크들을 묶어서 지칭한다.

최근 빅테크들이 AI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며 부상하면서 FAANG에 이어 새로운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들 기업을 묶어 DONDA라고 부른다.

DONDA는 구글 자회사로 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Deepmind),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시장을 이끄는 오픈AI(OpenAI), AI 기술을 꽃피우는 기반이 되는 GPU를 만드는 엔비디아(NVIDIA), 빅데이터 분석과 AI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이터브릭스(Databricks), 생성형AI 클로드를 선보인 앤스로픽(Anthropic)이 포함된다. AI 기술 발전과 더불어 주목받는 기업들이다.

구글 자회사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는 단백질 구조 예측 AI 모델인 알파폴드를 개발한 공로로 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오픈AI는 현재 AI, 테크 분야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이끌고 있다. 올트먼 CEO는 최근 오픈AI를 이익 추구가 가능한 공익 법인으로 전환한다고 선언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AI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선 현재도 여러 전문가, 기업인들이 논쟁을 벌이고 있다.

엔비디아 역시 업계, 투자자들의 관심을 크게 끈 기업이다. 엔비디아는 AI 개발에 필수적인 GPU 시장 점유율 90%로 AI 시대 가장 큰 수혜를 받은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빅데이터 전문 기업인 데이터브릭스는 보유한 모든데이터를 단일 플랫폼에 저장, 괸리,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업이다. 최근 약 90조원이라는 기업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

오픈AI의 영리화 움직임에 반발해 오픈AI를 퇴사한 사람들이 모여 만든 앤스로픽은 생성형 AI 챗봇 클로드를 출시해 생성형AI의 주요한 기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FAANG이 기존 대형 기술 기업들이 주를 이룬다면 DONDA는 AI와 데이터분석 등 AI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FAANG은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인 B2C에 집중하는 기업들이라면 DONDA는 기업과 기업 간 거래인 B2B 분야에 좀 더 집중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