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전운'… 분쟁 연쇄확산 경계해야 [사설]

입력 : 
2025-05-07 17:29:55
수정 : 
2025-05-07 19:46:1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최근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으며 전면전 확대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양국은 카슈미르 분쟁을 둘러싸고 지속적인 군사 충돌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번 충돌이 전면전으로 비화할 경우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북한의 군사력 강화 및 국제 정치의 복잡한 상황 속에서 한반도 역시 핵전쟁 위험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실상 핵보유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이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으며 전면전 확대 가능성에 세계의 이목이 모이고 있다. 인도 정부는 7일 새벽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내 테러리스트들의 기반 시설 9곳에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파키스탄 역시 인도 내 목표물에 보복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 양국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로 26명이 사망한 이후 소규모 교전을 이어왔는데 이날 미사일 폭격까지 간 것이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분쟁지역인 카슈미르를 놓고 1947년과 1965년 두 차례 전면전을 벌였고 1971년에는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 독립문제로 3차 전쟁을 벌였다. 이후로도 카슈미르 지역에서 테러가 발생할 때마다 양국은 상대를 배후로 지목하면서 크고 작은 군사 충돌을 이어왔다. 세계가 인도와 파키스탄 충돌에 긴장하는 것은 둘 다 비공인 핵보유국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카슈미르 문제를 비롯한 해묵은 갈등이 더해지면서 세계에서 핵전쟁 위험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 분류된다.

이번 충돌이 전면전으로 치달을 경우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 이어 지구촌에서 동시에 3개의 대규모 전쟁이 벌어지게 된다. 2차 대전 이후 전례가 없는 일이다. 전쟁은 그 자체로 비극이지만 분쟁이 연쇄 확산되는 사태는 특히 위험하다. 분쟁지역이 늘어날수록 국제사회의 개입이 어려워지고 이를 틈탄 모험적 도발 가능성이 커진다. 국제 정치학자들이 중국의 대만 침공과 더불어 전쟁 가능성을 높게 점치는 대표 지역이 한반도라는 점에서 우리 안보와 직결된 문제다.

김정은은 올해 들어 핵추진잠수함을 비롯해 현대화된 무기와 군수산업 역량을 꾸준히 과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우크라이나 파병을 통해 러시아와의 동맹 수위를 한층 끌어올리고 현대전 경험까지 쌓았다. 러시아는 파병 대가로 북한이 필요로 하는 첨단 군사기술을 이전할 것이다. 주한미군 역할 조정을 비롯한 미국의 동맹전략 변화를 틈타 김정은이 분쟁지역 확대를 꾀하고 나올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