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전투기 오폭 이어 헬기·무인기 충돌까지…나사 빠진 軍 [사설]

입력 : 
2025-03-18 17:19:53
수정 : 
2025-03-18 22:23:4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육군의 정찰용 무인기가 경기도 양주에서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

전투기의 민가 오폭 사건 이후 잇따른 군 사고로 국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으며, 군의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요구된다.

정치권과 권한대행은 군 수뇌부 공백 해소를 위해 신속히 협의에 들어가야 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육군 정찰용 무인기가 경기도 양주의 군 비행장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지상에 있던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6일 전투기의 민가 오폭 사고가 있은 지 11일 만이다. 당시 오폭 사고에서는 부상자 29명이 발생했지만 이번 헬기·무인기 충돌에서는 인명 피해가 없었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잇단 군 사고로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히 유감스럽다. 군의 잦은 사고가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 그에 따른 국방장관과 주요 지휘관들의 공석 장기화에 따른 기강 해이에서 촉발된 것은 아닌지 많은 국민이 걱정하고 있다.

지금은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탄핵소추로 인해 직무가 정지되고,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권한이 이양돼 있는 예민한 시기다. 어수선한 때일수록 군이 듬직한 모습으로 국민들의 안보 불안을 덜어줘야 하는데 오히려 걱정을 키우고 있으니 안타까운 노릇이다.

이제라도 군은 비상한 각오로 국민들의 이러한 불안과 우려를 불식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고도의 경각심을 갖출 필요가 있다. 그래야 '나사 빠진 군'이라는 비난 대신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전투기 오폭과 관련해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뼈를 깎는 각오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겠다"고 했다. 이번에 사고를 낸 무인기는 육군 소속이지만 전군이 마찬가지다. 국민 입장에서는 모두 우리 군일 뿐이다. 최근의 불상사들을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기강을 바로 세우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차제에 군 수뇌부 공백도 해소할 필요가 있다. 얼마 전 전투기 오폭 사고 중간조사 결과, 조종사의 좌표 입력 실수뿐만 아니라 보고 체계 운영도 허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훈련이 아닌 실제 전시 상황이었다면 더 큰 피해와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런 아찔한 상황을 피하려면 여야 정치권과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방부 장관과 군 수뇌부의 복원을 위해 조속히 협의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정략적으로 접근할 사안이 아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