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신동아건설, 삼부토건, 안강건설 등 중견 건설사 4곳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고, 종합건설사 중 총 102곳이 문을 닫았다. 롯데건설은 서울 잠원동 본사를 포함해 1조원대 자산 매각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10대 건설사까지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건설업 위기가 경제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도장·방수 등 전문건설업체까지 포함하면 올해 들어 두 달 새 폐업을 신청한 건설사는 총 601곳에 달한다. 하루 평균 10개꼴이다. 폐업 사유가 모두 경영악화는 아니지만 건설업 업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는 의미다. 건설사들의 줄폐업은 건설업 종사자 급감으로 이어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건설사들의 자금난 원인으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공사비 급등 등이 꼽힌다. 수도권까지 덮친 미분양 쇼크와 수주 절벽 장기화 영향이 크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증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미분양 증가는 경기침체 탓도 있지만 수요예측에 실패한 건설사 책임도 크다. 그동안 건설업계는 과도한 부채에 의존한 확장 전략을 지속해왔다. 리스크 관리보다 수익 창출에 치중해 부실을 키운 기업도 적지 않았다. 건설 경기 반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건설사 부실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
건설업계는 지금의 위기를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롯데건설을 비롯해 SK에코플랜트, DL이앤씨 등이 사옥이나 자회사 매각을 추진하는 것도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려는 고육지책이다. 다른 건설사들도 자산 재편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정부와 금융권도 PF사업 옥석 가리기에 속도를 내야 한다. PF부실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로 전이될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좀비기업은 과감히 구조조정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은 유동성을 공급해 살려야 한다. 위기는 분명 고통스럽다. 하지만 구조조정과 체질 개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다면 건설업은 더 강해질 수 있다.
기사 상세
사설
건설업 덮친 위기, 체질개선 기회로 [사설]
- 입력 :
- 2025-02-27 17:15:2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설업 위기가 현실화되면서 중견 건설사 4곳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고 102곳이 문을 닫았다.
미분양 및 수주 절벽의 장기화는 건설사 부실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최근 2개월간 601곳의 건설사가 폐업을 신청했다.
건설업계는 구조조정과 체질 개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유동성을 공급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글자크기 설정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인기뉴스
2025-10-07 01:29 기준
-
1
“돼지갈비찜, 잡채”…구치소서 추석 맞는 윤 부부
2025-10-06 06:39:49
-
2
트럼프, 해군 기념식서 “세계 각국 美조선업에 수천억불 투자”
2025-10-06 10:17:39
-
3
동남아 더이상 가성비 아니다?…한국인 관광객 없이 싸고 힐링되는 태국 비밀낙원
2025-10-06 17:47:48
-
4
“밖에서 밥 사먹기 무서워요”…3천원대 프리미엄 버거가 잘 팔리네
2025-10-05 11:21:19
-
5
오은영 박사 화장까지 전담했다…올해 매출 1500억 전망하는 정샘물뷰티 [인터뷰]
2025-10-06 17:23:56
-
6
“남아돌아 그냥 막 버렸는데”…다이어트 효과 탁월 ‘이것’ 뭐길래
2025-10-06 20:56:14
-
7
“미국엔 물건 안 팔아”…세계 수출 증가에도 관세 장벽 역풍
2025-10-05 11:32:13
-
8
김풍 요리에 눈 커진 대통령…‘K팝만큼 K푸드도 중요”
2025-10-06 16:19:40
-
9
“1㎏ 161만원, 한우보다 비싸”…이것 때문에 산 오르는 20대들
2025-10-05 16:19:34
-
10
“천장 뚫렸나” 금값 사상 최고가 또 경신…온스당 550만원선 돌파
2025-10-06 10:5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