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이 판국에 정치파업 … 생산현장 멈춰세워선 안돼 [사설]

입력 : 
2024-12-11 17:47:05
수정 : 
2024-12-11 19:23: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속노조가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11일 총파업을 벌였고, 이는 근로자 권익과 상관없는 정치파업이었다. 현대차, 한국GM 등 약 7만명이 동참해 현대차 생산 차질 물량만 5000대로 추산된다. 미국의 관세폭탄 예고와 비상계엄 사태로 시장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치파업으로 공장까지 멈추면 수출에 큰 차질을 빚을 수 있어 경영자총협회는 자제를 호소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가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11일 총파업을 벌였다. 금속노조가 내건 "윤석열 즉각 퇴진, 내란 세력 청산" 등 구호에서 보듯 이번 파업은 근로자 권익과 상관없는 명백한 정치파업이다. 애초 무기한 총파업을 예고했다가 파업 기간을 이날 하루로 줄이기는 했지만, 비상계엄 쇼크로 경제가 휘청거리는 상황에서 '정치 파업'을 강행한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11일 기아 노조는 주간과 야간 2시간씩 총 4시간의 파업을 진행했고 충남 현대제철 비정규직, 모비스 안양 등도 파업에 돌입했다. 앞서 금속노조는 지난 5~6일 주야 2시간 이상 파업방침을 결정했고 현대차, 한국GM 등 약 7만명이 동참했다. 현대차 생산 차질 물량만 5000대로 추산되고, 한국GM도 1000여 대의 차량을 생산하지 못했다고 한다. 금속노조 산하에는 현대차·기아, 한국GM 등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현대모비스, 만도 등 부품사도 소속돼 있다. 금속노조는 12일 확대 간부 파업 후 상경, 13~14일 촛불집회 참여 등 정치 투쟁 수위를 높여간다는 방침이어서 자동차 업계는 노조가 언제든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는 리스크를 떠안게 됐다.

노조가 근로조건과 관련이 없이 정치적 이유로 파업을 벌이는 것은 현행법상 불법이다. 민주노총은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도 촛불집회를 주도한 후 '촛불 청구서'를 내밀었는데, 이번에도 비상계엄을 동력 삼아 그럴 생각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지금 산업 현장의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 미국의 관세폭탄 예고와 비상계엄 사태로 시장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치파업으로 공장까지 멈추면 수출에 큰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금속노조 총파업은 사회 혼란과 민생경제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는 만큼 자제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기업 사정을 외면한 정치파업이 들불처럼 번지면 백척간두에 놓인 우리 경제는 더 위험해질 수밖에 없다. 민주노총은 산업현장을 마비시키고 사회 혼란을 부르는 정치파업을 당장 멈춰야 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