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영업이익 5배로 키운 정의선 "현대차, 지금 안주할 때 아냐"

김정환 기자
입력 : 
2025-10-13 18:02:08
수정 : 
2025-10-13 20:46:2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회장 취임 5주년을 앞두고 글로벌 3위 완성차 업체로 도약한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고객 우선주의를 강조했다.

그는 자율주행, 로봇, 미래항공 등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을 확보하며 고객 기반을 확장할 계획을 밝혔다.

또한 그는 일본에서 열리는 '한·미·일 경제대화'에 참석하여 미 관세 대응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14일 회장 취임 5주년
글로벌 車 '빅3' 성장에도
"정점 아냐… 방심 말아야"
사진설명
"지금이 정점은 아니다. 방심하지 말아야 한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사진)이 회장 취임 5주년을 하루 앞둔 13일 글로벌 3위 완성차 업체로 도약한 데 안주하면 안 된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부터 매년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 기록을 경신하며 글로벌 '빅3'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정 회장은 더 나아가기 위해 "고객이 모든 것의 시작이다. 고객 우선주의에 박차를 가하자"고 강조했다. 특히 자율주행, 로봇, 미래항공 등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을 확보하며 이 시장에서도 고객 기반을 확장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재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최근 그룹 임원회의에서 잇달아 '고객 우선주의'를 강조했다. 25%에 달하는 미국의 고율관세 부과 조치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중국 경쟁 업체의 추격 등 난제가 산적했지만 탄탄한 고객층을 확보하면 위기를 정면돌파할 수 있다는 뜻을 연이어 강조한 것이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미국 관세 등 가격 경쟁력을 위협할 수 있는 위기에도 고객 기반만큼은 지켜야 한다는 정 회장의 의지가 강하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별도로 취임 5주년 행사를 하는 대신 14~15일 일본에서 열리는 '한·미·일 경제대화'에 참석해 3개국 정·재계 인사와 함께 미 관세 대응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정 회장은 2020년 10월 현대차·기아 임시 이사회에서 회장으로 선임됐다. 2019년 163조8924억원에 그쳤던 현대차·기아 합산 매출액은 지난해 282조6800억원으로 72.5% 불어났고, 영업이익은 이 기간 5조6152억원에서 26조9067억원으로 무려 5배 늘었다.

[김정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