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기재부의 공공기관 평가권한 분산' 법안 발의
외부 평가기구 설치도 검토… '인사 솎아내기' 포석
외부 평가기구 설치도 검토… '인사 솎아내기' 포석

지난해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로도 49명이 새 기관장에 임명된 바 있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형배 민주당 의원은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권한을 기존 기획재정부에서 각 주무 부처로 이관하는 내용의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민 의원이 발의한 법안대로 공공기관을 제어하는 권한을 각 부처로 분산한다면 지금보다 전문성에 기반해 강도 높은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민주당 선대위는 공공기관장에 대한 평가를 전담하는 외부 평가기구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공공기관장의 경영 능력과 정부 정책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며 "각계 전문가를 포함해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인사가 평가기구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대위는 이와 함께 공공기관장 임기를 손질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지난 12일 공개된 민주당 대선 10대 공약은 주요 공공기관장 임기를 대통령 임기와 일치시키겠다는 내용을 두 번째 과제로 제시했다. 선대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공공기관 경영의 일관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공공기관과 기관장 평가 체계에 메스를 들기로 한 것은 이른바 알박기 인사를 방지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집권 후 새로운 정부와 철학을 함께하는 인사로 공공기관의 새판을 짜 주요 국정과제를 빠른 속도로 이행하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현재는 기재부가 공공기관 331곳 가운데 규모가 큰 공기업 31곳과 준정부기관 57곳에 대해 매년 실적 평가를 한다. 이 평가에 따라 임직원 성과급이 달라지고 기관장 거취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에도 2009~2011년, 2014~2017년에 기관 평가와 기관장 평가가 별도로 실시된 적이 있다. 당시 정부는 기관 평가와 분리된 평가지표 체계를 설계하고 기관장 평가단도 별도로 운영했다. 그러나 기관 경영평가 지표체계 개편으로 2018년부터 기관장·기관 평가가 통합됐다.
[홍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