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련형 전자담배시장 갈수록 커져 … 한국필립모리스 '센티아' 신제품 출시

한국필립모리스는 최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유일하게 필립모리스의 비연소 제품을 생산하는 경남 양산공장을 공개했다. 이곳은 '담배 연기 없는 미래'라는 자사 비전이 응축된 곳이다.
회사는 양산공장에서 생산된 센티아를 이달부터 전국 9개 아이코스 직영 매장과 서울·경기 편의점에서 판매한다. 센티아는 2022년 '테리아'를 출시한 지 3년 만에 내놓는 신제품이다. 아이코스를 처음 접하는 성인 흡연자를 위해 출시됐으며, 연초 담배의 친숙한 맛을 담아 궐련형 전자담배로의 전환을 돕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2002년 설립된 양산공장은 4억8000만달러(약 7000억원)를 투자해 설비를 확장하고 기술 고도화를 이룬 곳이다. 총면적은 7만367㎡(약 2만1000평)에 달한다. 축구장 10개 크기다. 이곳에서 생산하는 담배는 연간 400억개비에 육박한다. 비연소 제품(센티아 4종, 테리아 18종)의 생산 비중이 60%까지 올라왔다. 생산 담배의 약 33%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12개국으로 수출된다. 나머지 60%는 국내 시장에 공급된다.
담뱃잎이 테리아와 센티아 등 완제품으로 가공되기 위해선 원료를 가공하는 프라이머리(primary) 공정, 스틱을 만들고 포장하는 세컨더리(secondary)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정창권 양산공장 엔지니어링 부문 총괄이사는 "담배 건초를 분쇄한 뒤 반죽한 다음 이것을 우리가 흔히 화장실에서 보는 롤 페이퍼 형태로 만들어내는 것이 프라이머리"라고 밝혔다.
이렇게 생산된 캐스트 리프는 막대 형태로 가공, 필터와 조립해 궐련형 전자담배 스틱이 된다. 이 과정을 세컨더리 공정이라고 부른다.
세컨더리 공정에서 캐스트 리프는 크림퍼(Crimper), 컴바이너(Combiner), 패커(Packer) 장비를 거치게 된다. 프라이머리 공정에서 생산된 갈색의 롤 모양의 캐스트 리프가 크림퍼로 들어간다. 크림퍼는 캐스트 리프를 막대 형태로 접어 토바코 플러그(스틱에서 필터를 제외한 막대 형태의 담배 부분)를 제조하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크림퍼에서 제조된 토바코 플러그는 컴바이너 장비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토바코 플러그와 필터가 합쳐져 센티아 스틱으로 조립된다. 스틱 2개가 하나로 붙어서 나오는데, 이것을 반으로 잘라 2개의 스틱으로 만든다. 생산 효율을 높이려는 조치라고 한다.
완성된 스틱은 패커 장비를 통해 분 단위로 샘플링 검수를 거친다. 기준에 미달한 제품은 즉시 생산라인 밖으로 제거된다.

지아 아흐메드 카림 한국필립모리스 양산공장장은 "경남 양산공장은 단순한 생산시설이 아니라 '비연소 혁신의 허브'로 성장하고 있다"며 "센티아의 전국 출시는 '담배 연기 없는 미래'로의 여정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이어 "센티아엔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 양산공장의 DNA가 집약됐다"고 덧붙였다.
한국필립모리스는 전자담배 시장의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필립모리스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흡연자 5명 중 1명은 아이코스와 같은 비연소 제품을 이용하고 있다.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은 전 세계 비연소 사업 순매출 비중이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순매출의 40%를 차지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기화 한국필립모리스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글로벌 최고경영자(CEO)가 10~15년 사이에 일반 담배, 말보로를 팔지 않겠다고 선언했다"며 "많은 소비자가 빨리 (비연소 제품으로) 전환하는 게 바람"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담배는 만 19세 이상 성인만을 위한 제품입니다.
[이효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