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규제 풀렸는데 이상하네”…인천 토허제 4곳, 지정 해제 후 되레 거래량 감소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3-21 10:30:3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3년 말부터 지난해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인천 시내 4곳의 부동산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제 이후 거래량이 감소한 인천과 달리, 서울은 규제 완화 후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모습을 보이며 아파트값이 급등했다.

전문가는 금리 인하와 대출 문턱 완화가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지적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인천계양 계양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 [사진 = 연합뉴스]
인천계양 계양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 [사진 = 연합뉴스]

2023년 말부터 지난해까지 순차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인천 시내 4곳의 부동산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후 호가가 수억원 오르고 거래량이 급증한 서울과는 대조를 보여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계양테크노밸리와 대장지구, 구월2 공공주택지구, 검암역세권 등 4곳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3개월과 직후 3개월의 토지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해제 이후 거래량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역별로는 2023년 12월 해제된 계양테크노밸리(8.4㎢)는 거래 필지가 275필지에서 234필지로 감소했다.

지난해 5월 해제된 대장지구(0.72㎢)는 131필지에서 106필지로, 같은 해 11월 해제된 검암역세권(6.15㎢)은 232필지에서 204필지로 줄었다. 같은해 7월 주거·상업지역 중심으로 일부 해제된 구월2 공공주택지구(8.48㎢)는 862필지에서 751필지로 거래량이 감소했다.

현재 인천시에 남아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구월2 공공주택지구와 인근지역을 합친 5.43㎢이며, 지정 기간은 오는 9월 20일까지다.

인천시는 부동산시장 위축 상황과 해제 전후 거래량 등을 고려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시기적으로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서울은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완화 후 시장이 과열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3월 둘째 주 송파구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72%, 강남구는 0.69%, 서초구는 0.62% 각각 상승하며, 7년여 만에 가장 큰 뜀폭이다. 강남 3구를 중심으로 갭투자 비율이 2월에 상승하며 투기성 거래의 증가 신호도 포착됐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구로)의 집값도 회복 조짐을 보여 상승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는 게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왔다.

한 시장 전문가는 “부동산 시장에서는 작년 말부터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되고 올해 들어 금융권 대출 문턱이 낮아진 가운데, 토허구역 해제가 집값 상승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진단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