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세제혜택·비용지원 다 받고선 일방적 가격 올린 식품업계"

이지안 기자
입력 : 
2025-03-09 17:41:5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농심과 CJ제일제당 등 주요 식품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발표하자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소비자 설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할당관세와 같은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경영 부담을 덜도록 하면서도, 가격 인상에 대한 이유 설명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근 가격 인상이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며, 미국의 수입 농산물 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 중임을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박범수 농식품부차관 인터뷰
"소비심리 더 위축돼" 쓴소리
美, 수입 농산물 관세 우려에
"시나리오별 대응책 마련"
사진설명
농심, CJ제일제당 등 주요 식품 기업이 잇달아 가격 인상을 발표하면서 물가 불안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되자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사진)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정부가 물가와의 전쟁에 총력전을 펴는 가운데 식품업계가 일방적으로 가격을 인상한 데 대한 불만을 내비친 것이다.

박 차관은 지난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며 "정부는 할당관세 적용, 구입비용 지원, 세제 혜택 등을 통해 기업들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 있다"며 "기업들도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최근 코코아 가공품 등 6개 품목을 추가로 할당관세 적용 대상에 포함해 총 20종의 식품 원료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그는 "정부가 가격 인상을 강제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소비자를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지원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한 인상이라면 그 이유를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대비 2.9% 오르며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 물가도 3.0% 올랐다. 연초부터 스타벅스와 할리스를 시작으로 SPC 파리바게뜨, 롯데웰푸드, 빙그레 등이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박 차관은 "기업들이 소비자 설득 없이 가격을 올리면 위축된 소비심리가 더욱 악화할 수 있고, 이는 다시 기업의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12·3 비상계엄 이후 정국 불안으로 정부의 물가 관리가 느슨해진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박 차관은 "그런 이유는 아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미 재작년부터 식품업계와 가격 인상 자제를 논의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누적된 경영 부담이 최근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할당관세 적용이 실제로 기업들의 원가 부담을 얼마나 줄였는지 분석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정부 지원이 소비자 혜택으로 이어지지 않고 기업의 이익으로만 귀결된다는 비판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수입 농산물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농식품부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한국은 미국산 농산물 수입국 5위로, 한국에만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정부 측 판단이다. 박 차관은 "중국산 농산물에만 관세가 부과될 경우 대미 수출 감소로 인해 일부 물량이 한국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며 "이러한 영향까지 고려해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지안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