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금융 라운지] 산은 일병 구하기 나선 당국

채종원 기자
입력 : 
2025-02-17 17:35:13
수정 : 
2025-02-17 19:29:1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이 반도체 및 배터리 등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에 따라 한국산업은행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산은의 수권자본금 증액은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국회의 주요 의제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금융당국은 산은법 개정안을 주요 입법 과제로 삼고 있다.

산은의 납입자본금이 올해 상반기 28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신속한 자본금 증액이 정책금융 역할 수행에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정책 대응위해 체력 키우자"
법정자본금 50조로 증액 총력
반도체, 배터리 등 분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에 크게 영향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책금융기관으로서 한국산업은행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산은의 수권자본금(증자할 수 있는 최대 법정자본금) 증액 건은 계엄·탄핵정국을 거치며 국회의 핵심 의제에서 멀어지는 분위기다. 이에 금융당국은 산은법 개정안을 상반기 주요 입법과제로 삼고 총력전에 나서는 모양새다.

17일 금융당국 및 국회에 따르면 18일 국회 정무위원회를 앞두고 지난주 금융위원회 간부들은 각각 정책과제, 금융 이슈, 입법 사안 등에 대해 정무위 의원실과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명을 진행했다. 또 금융위는 정무위 업무보고 자료에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일반주주 보호 강화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 등 15개 법안을 주요 추진 사항으로 담았다.

이 중 산은의 수권자본금을 현행 30조원에서 50조원으로 확대하는 법 개정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윤한홍·권성동 국민의힘 의원과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수권자본금 확대 법안이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산은의 업무 진행 속도를 감안했을 때 올해 상반기 산은의 납입자본금(실질 자본)은 28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자본금 한도치에 거의 도달한 상황이다. 향후 빠른 증액이 이뤄지지 않으면 정책금융 역할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정부가 올해 산은에 별도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신설할 예정이기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미뤄도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정무위 관계자 역시 "정치 변수를 고려해 당분간 쟁점 없는 법안에만 주력할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금융권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 정책이 하루하루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어떤 변수에도 대응하려면 체력부터 우선 크게 키워둬야 한다"며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채종원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