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광현 민주당 의원실
근소세 비중 18% 역대 최고
불황에 기업 법인세 급감하자
부족한 세수 직장인이 메운셈
근소세 증가율도 10년간 140%
총국세 63.7%보다 2배 높아
근소세 비중 18% 역대 최고
불황에 기업 법인세 급감하자
부족한 세수 직장인이 메운셈
근소세 증가율도 10년간 140%
총국세 63.7%보다 2배 높아

지난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소득세 수입은 61조원으로 전년보다 1조9000억원 늘었다. 근로소득세는 월급·상여금 등 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용근로자의 급여에서 원천징수된다.
근로소득세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4년 25조4000억원이었다가 2016년 31조원으로 30조원대로 진입했고, 2020년(40조9000억원)과 2022년(57조4000억원)에 각각 40조원, 50조원을 돌파했다. 이어 지난해 60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고소득 취업자 수 증가와 명목임금 상승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상용근로자 수는 1635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18만3000명 늘었고, 근로자 1인당 임금은 416만8000원(10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3.7% 올랐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근로소득세 증가율은 140%로 총국세수입 증가율(63.7%)을 크게 앞섰다.
이에 따라 국세수입에서 근로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다. 지난해 전체 국세 중 18.1%가 근로소득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5년 8.2%였던 근로소득세 비중은 2010년(10.3%) 10%대에 진입한 뒤 2014~2022년엔 12~14%대에서 움직였다. 이후 2023년 17.2%로 커진 뒤 계속 상승 중이다.
국세청이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근로소득자 2054만명 중 33.9%인 697만명은 각종 공제로 인해 결정세액이 '0원'인 근로소득 면세자다. 즉 실제 세금 부담은 중산층 이상의 월급쟁이들에게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근로소득세 비중 증가 배경엔 경기 악화로 2년 연속 법인세가 감소한 것도 있었다. 지난해 법인세는 반도체 등 핵심 업종 불황으로 인해 전년보다 17조9000억원 줄어든 6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23조2000억원 감소한 데 이은 2년 연속 감소세다. 법인세 비중 역시 18.6%로 2005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근로소득세 비중과 비슷한 수준까지 낮아진 것이다.
여기에 기업 대상 각종 비과세·세금 감면 조치 등도 법인세수 감소에 영향을 줬다. 민간 연구기관 나라살림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2021~2025년 법인세의 연평균 조세지출 증가율은 10.7%로 소득세(9.8%)보다 더 빠르게 늘었다. 조세지출은 비과세와 감면 조치 등으로 거둬야 할 세금을 받지 않는 것을 뜻한다.
법인세는 이처럼 경기에 따라 등락폭이 커 세수 예측이 크게 빗나가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엔 세입예산보다 각각 17조원, 33조2000억원 더 걷혔다. 2023·2024년에는 예산보다 각각 23조2000억원, 17조9000억원이 덜 걷혔다.
일각에선 국가의 중장기적 과제에 대한 대응력을 키우고 세수 예측력을 높이려면 경기에 덜 민감한 세목 개편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는 상황에서 법인세 외에 세수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류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