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단독]“다 쓰지도 못하는데”…5조어치 찍었다는 온누리상품권, 미사용 잔액 봤더니

문지웅 기자
입력 : 
2025-02-12 18:42:1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의 미회수액이 지난해 말 1조원에 육박하며 사용처 확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신규 가맹점 수가 지난해 8월 기준으로 9129개에 그친 데 반해, 발행액은 5년 새 2배 이상 증가하면서 정부의 편의성 개선 노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지적과 함께, 발행과 사용 간의 불균형이 주요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미회수액 5년새 4배로 급증
발행 느는데 사용처 한정탓
11일 서울시내 전통시장에 온누리상품권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2025.02.11[이충우기자]
11일 서울시내 전통시장에 온누리상품권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2025.02.11[이충우기자]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이 기로에 섰다. 매년 발행 규모는 늘지만 실제 사용되지 않은 상품권이 1조원 가까이 쌓였다. 여당인 국민의힘과 유통업계에서도 사용처 확대를 비롯한 제도 개선 목소리가 나온다.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며 비슷한 기능을 하는 지역화폐가 온갖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온누리상품권도 사용처 확대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12일 국회예산정책처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누적 미회수액이 해마다 크게 늘며 지난해 말 1조원에 육박했다. 미수회액은 시중에 판매는 됐지만 실제 사용되지 않아 은행 창구로 돌아오지 않은 상품권 잔액이다.

온누리상품권 미회수액은 5년 전인 2019년에는 2322억원에 불과했다. 2020년 8376억원까지 늘었다가 2023년 6037억원까지 줄었지만 지난해 다시 9436억원으로 급증했다.

가맹점이 너무 적어 사용이 불편한 게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신규 가맹점은 2020년 2만5000개가 넘었지만 지난해에는 8월까지 9129개에 그쳤다.

정부가 사용 편의 개선보다 발행에만 매달리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온누리상품권 발행은 2020년 2조5000억원에서 올해 5조 5000억원으로 5년 새 2배 이상 급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