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고환율에 4000억달러 겨우 지켰는데”…외환보유액 또 45억 달러 줄어

최종일 기자
입력 : 
2025-02-05 06:03:0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달러당 원화값이 불안정한 가운데,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4110억 달러로 감소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2월 말보다 45억9000만 달러 줄어든 수치이며, 이는 외화예수금 감소와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조치 등의 영향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세계 9위로, 중국은 3조2024억 달러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작년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한 직원이 엔화와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작년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한 직원이 엔화와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달러당 원화값이 요동친 가운데 환율 방어로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전달에 비해 또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0억 달러로 전달인 12월 말 보다 45억9000만 달러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분기 말 효과 소멸로 인해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감소했다”며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압 확대도 일시적 감소에 영향을 줬고,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조치 등이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의 구성을 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620억2000만 달러),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특별인출권(SDR·147억2000만 달러) 등이다.

한편 지난해 12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다. 1위는 중국으로 3조2024억 달러를 갖고있다. 이어 일본이 2위로 1조2307억 달러를, 스위스는 3위로 9094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인도·러시아·대만·사우디 아라비아·홍콩 순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