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속보] 작년 산업생산 1.7% 증가…소매판매 2.2%↓·건설4.9%↓

김혜진 기자
입력 : 
2025-02-03 08:01:56
수정 : 
2025-02-03 08:26: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하며, 주로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이 영향을 미쳤다.

광공업 생산은 4.1% 증가했고, 서비스 생산은 1.4%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전년 대비 반으로 줄어들었다.

소매판매액은 2.2% 감소하며, 신용카드 대란 사태 이후 최대 폭 감소를 기록했고, 설비투자는 4.1% 늘어나지만 건설기성은 4.9% 감소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부산항 신선대부두 화물터미널 [한주형 기자]
부산항 신선대부두 화물터미널 [한주형 기자]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작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전년(1.0%)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면서 전체 산업생산 호조세를 견인했다. 제조업은 4.4%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 소비가 반영된 서비스 생산은 작년 1.4% 증가했다. 증가 폭이 전년(3.2%)의 절반 이하로 쪼그라들며 2020년(-2.0%) 이후 최소 폭을 기록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은 2.2% 줄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설비투자는 4.1% 늘었다. 건설기성은 4.9% 감소했다.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작년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달보다 2.3% 증가했다. 작년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넉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광공업 생산은 4.6%,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소매판매는 0.6% 감소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에 더해 작년 12월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소비 위축 등 영향으로 작년 9월 이후 넉 달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9.9% 늘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1.3% 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같았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