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갈수록 넘사벽”…작년 서울 아파트 거래 절반 이상 9억원 초과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1-31 13:26: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년 서울 아파트 9억원 초과 거래 비율이 역대 처음으로 전체 거래량의 53.8%를 차지하며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아파트값 상승과 인기지역에 대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고금리 대책에도 불구하고 고가주택 거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서울 강남권 및 마용성 지역에서의 거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외벽에 호가를 올린 아파트 가격표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외벽에 호가를 올린 아파트 가격표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작년 서울 아파트 9억원 초과 거래 비율이 역대 처음으로 전체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아파트값 상승과 인기지역 아파트를 선호하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거래된 5만6800여건 가운데 실거래가격이 9억원을 초과한 경우가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이는 정부가 실거래가 신고를 의무화한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금액대별 거래 비윤은 2018년만 해도 전체 계약의 83.4%가 9억원 이하 거래였고 9억원 초과는 16.6%에 그쳤다. 당시 1주택자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못 받는 고가 아파트의 기준이 9억원으로, 거래 10건 중 6건 이상(60.9%)이 6억원 이하에 팔렸다.

이후 저금리 장기화와 2020년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의 부작용으로 전셋값과 아파트값이 동반 상승해 2020년에는 9억원 초과 계약 비율이 31.6%로 늘었고, 2021년에는 44.3%로 늘었다.

그러다 2022년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거래 절벽이 심화하고 아파트값도 급락하며 9억원 초과 거래 비율이 38.8%로 줄었으나, 2023년 매매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9억원 초과 거래 비율이 다시 46.5%로 높아졌고 지난해는 절반을 넘었다.

정부가 2023년에 특례보금자리론, 2024년부터는 신생아 특례대출로 9억원 이하 주택 구입에 저리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9억원 초과 거래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인 것이다.

한 주택업계 관계자는 “아파트값 상승이 지속되고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지역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