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그동안 넣은 내 돈 괜찮을까”…국민연금 가입자 줄어들며 재정 흔들

강인선 기자
입력 : 
2025-01-02 18:48:2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국민연금 재정이 악화되고 있으며, 가입자 수는 감소하는 반면 고액 연금 수급자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월 100만원 이상의 연금을 수급하는 인구가 크게 늘어난 반면, 국민연금 개혁은 정치적 갈등으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정부의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연금 개혁의 동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작년 9월 국민연금 통계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68만→83.4만으로 증가
탄핵 정국에 개혁 논의는 지지부진
[사진 = 매경DB]
[사진 = 매경DB]

급격한 고령화로 국민연금 재정이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연금 가입자 수는 줄어드는데 베이비붐세대 은퇴가 늘어나면서 고액 연금 수급자가 증가하고 있다.

2일 국민연금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국민연금 가입자 수는 2185만6925명으로 2023년 말 2238만4787명 대비 52만7862명 줄었다. 이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와 경기 둔화로 인한 가입자 수 감소 탓이 크다.

국민연금 의무 가입 대상은 만 18~59세다. 가입자는 만 60세가 되기 전까지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보험료 납부 대상에서 제외되는 인구는 늘어나지만, 새로 가입자로 진입하는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30세 미만 가입자 수는 363만1253명으로 2023년 12월 386만7648명 대비 23만6395명 감소했다.

반면 국민연금 수급자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국민연금 수급자 수는 716만7666명으로 2023년 말 682만2178명 대비 34만5488명 증가했다. 국민연금은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1965~1968년생은 64세부터, 1961~1964년생은 63세부터 수령한다.

월 100만원 이상 연금을 수급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9월 말 월 100만원 이상을 수령하는 수급자 수는 83만4158명으로 2023년 68만646명 대비 15만3512명 증가했다. 월 200만원 이상 받고 있는 수급자 수 역시 4만6263명으로 2023년 말 1만7810명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국민연금 개혁은 지지부진하다.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는 보험료율(월 소득에서 국민연금 보험료로 내는 비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40%까지 줄게 돼 있는 소득대체율(소득에서 받는 돈의 비율)을 42%에서 멈추는 내용의 국민연금 개혁안을 내놨지만 국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지난해 말 국회 내에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만들어 개혁안을 논의하는 안을 여야가 고민했지만 최근 정국 혼란으로 사실상 중단됐다. 지난해 12월 말 열릴 예정이었던 여야정 협의체도 ‘쌍특검’ ‘헌법재판관 임명’ 등 현안을 놓고 여야 갈등이 심해지자 연기됐다.

여야정 협의체가 만들어진다고 해도 연금 개혁안을 논의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추가경정예산, 현재 궐위 상태인 부처 장관 임명 등 시급한 현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야당 지도부 관계자는 ‘여야정 협의체가 만들어지면 연금 개혁을 논의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시간이 좀 걸리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되면 급속히 대선 정국으로 이행될 수 있다는 점도 연금 개혁이 속도를 내는 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 수장이 바뀔 수도 있는데 연금 개혁처럼 중요한 정책을 지금 밀어붙일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사실상 내년에 있을 지방선거 국면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연금 개혁 동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