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과 한국 인연
바오로 2세 후 25년만에 방한
방북도 추진했지만 결국 무산
명동성당에 추모객 발길 몰려
바오로 2세 후 25년만에 방한
방북도 추진했지만 결국 무산
명동성당에 추모객 발길 몰려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과 한국의 인연은 각별했다. 교황은 취임 다음 해인 2014년 아시아 순회 첫 방문지로 한국을 택했다. 천주교도 비율이 전체 인구의 10%인 한국을 택한 것은 당시 파격으로 받아들여졌다. 교황 방한은 1989년 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 이후 25년 만이었다. 표면적으로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아시아청년대회 개최를 축하하고 124위 순교자 시복식을 주관하기 위해서였지만 남북 대치 상황에서 희망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방한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실제 70만명이 모인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순교자 시복식에서 교황은 한반도 분단 상황과 남북 화해를 위한 대화를 강조하며 평화를 위한 기도를 지속적으로 요청했다.
4박5일 방한을 마치고 귀국길 기내 기자회견에서 밝힌 프란치스코 교황의 어록도 화제가 됐다. 교황이 반나절 '세월호 리본'을 달고 다닌 것에 대해 어떤 사람이 중립을 위해 리본을 떼는 것이 좋겠다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 교황은 "인간의 고통에 관해서는 중립적일 수 없다"고 답변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과 2021년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 가능성이 물밑에서 활발하게 논의됐지만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북·미 정상회담의 '하노이 노딜' 여파로 물거품이 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날 서울 중구 명동성당에는 슬픔에 잠긴 신도 수백 명이 모여들였다. 이들은 차분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 두 손을 모아 기도하며 애도를 표했다.
[이향휘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