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AI 통신·네트워크 투자 속도전

고민서 기자
박소라 기자
입력 : 
2025-05-11 17:47:19
수정 : 
2025-05-11 19:29:3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공지능(AI) 전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국내 ICT 업계는 AI 데이터센터(AIDC)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T와 SK텔레콤을 포함한 주요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관련 시스템을 강화하며 경쟁에 나선 가운데, KT는 데이터센터 규모를 2030년까지 32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2027년까지 GPU 3만 장 규모의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ICT업계 데이터센터 경쟁
KT, 2030년 320㎿로 확대
SKT, 가산서 AI 클라우드
LG, 파주에 6200억원 투자
정부도 AIDC 구축 초읽기
SK브로드밴드 가산 IDC에 구축된 AI 데이터센터(AIDC) 모습.  SKT
SK브로드밴드 가산 IDC에 구축된 AI 데이터센터(AIDC) 모습. SKT
인공지능(AI) 전환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AI 데이터센터(AIDC)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KT·SK텔레콤 등 통신사는 물론 LG, 네이버, 삼성SDS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인프라스트럭처와 냉각·배터리·운영 시스템까지 전방위 경쟁에 돌입했다.

통신사 중에선 KT의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KT는 지난해 9월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한 이후 그동안 시장의 AI 전환과 기업 간 거래(B2B) 클라우드 수요 대응을 위한 관련 사업 전반을 재편해 왔다. 그 일환으로 KT클라우드는 최근 AI를 중심으로 변화 중인 데이터센터시장 추세와 맞물려 자사 데이터센터 규모를 2030년까지 320㎿(메가와트)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말 가산 AIDC를 연 SK텔레콤은 미국 람다와 함께 이곳에서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시했다. 가산 AIDC에 들어선 람다의 한국 리전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처음으로 생긴 곳이다.

LG CNS는 국내 최초 데이터센터 사업자로, 30년 이상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상암, 부산, 가산은 물론, 미국·유럽·중국 등 4개 글로벌 거점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LG유플러스는 수도권 최대 규모인 평촌·파주 메가센터를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확대 중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8일 열린 올 1분기 콘퍼런스콜에서 파주 센터에 총 62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 차원에선 2027년까지 GPU 3만장 규모로 조성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고민서 기자 / 박소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