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제주항공, 환골탈태 박차…1분기 정비 지연율 대폭 개선

장주영 기자
입력 : 
2025-04-17 09:52:2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정비 지연율이 지난해보다 크게 개선되어 0.73%를 기록하며 운항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국내선과 국제선의 정비 지연율이 각각 0.76%P와 0.42%P 감소 했으며, 전체지연율도 21.49%로 하락하였다.

제주항공은 정비사 채용과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숙련 정비사를 확보하고, 해외 엔진 MRO업체와 협력하여 엔진 중정비도 진행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제주항공이 환골탈태를 위한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 그 노력이 조금씩 결실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7일 제주항공에 따르면 1분기 정비 지연율이 지난해에 비해 큰 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제주항공
사진 = 제주항공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2만2863편 중 166편이 정비 지연을 해 0.73%의 정비 지연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정비 지연율 1.33%(2만6416편 중 351편)에 비해 0.6%P 낮췄다.

항공기 정비 문제로 인한 운항 지연 비율을 나타내는 정비 지연율은 항공사의 안전성과 정시 운항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한다. 제주항공은 올 1분기 운항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운항편수를 14% 가량 감축했다.

제주항공의 국내선 정비 지연율은 지난해 1분기 1.68%에서 0.92%로, 국제선 정비 지연율은 지난해 1분기 0.97%에서 0.55%로 각각 0.76%P, 0.42%P 감소했다.

정비, 기상상황, 항공교통 흐름, 항공기 연결 등으로 인한 지연 등을 포함한 전체지연율에서도 올해 1분기 21.49%를 기록하며 지난해 1분기 27.11%보다 5.62%P 하락시켰다.

사진 = 제주항공
사진 = 제주항공

제주항공은 운항 안정성 강화를 위해 운항정비, 기체정비, 객실정비, 정비 관리 부문에서 정비사 채용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숙련 정비사를 확보하는 한편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신입 정비사 양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운항 정비 부문과 훈련 업무를 담당할 경력 정비사는 상시 채용을 진행할 방침이다.

또 제주항공은 미국연방항공청(FAA)와 유럽항공안전청(EASA) 등의 인가를 받은 해외 엔진 MRO업체에서 2023년 18대, 지난해 14대 등 해마다 10대 이상의 엔진 중정비도 실시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