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집, 차, 주식 다 팔아도 빚 못 갚는 39만 가구

지유진 기자
입력 : 
2025-03-28 16:17:45

글자크기 설정

고위험가구, 전체부채 4.9% 차지
“주택가격 하락시 지방 고위험가구 더 늘어날 것”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가진 자산을 팔아도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가 지난해 39만 가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3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고위험가구는 38만6000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고 부채자산비율(DTA)이 100%를 넘는 가구로 자산을 처분해도 빚을 갚기 어려운 상태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4.9%인 72조3000억원에 달한다.

한은에 따르면 고위험가구의 DSR(부채상환비율) 중위값은 75.0%, DTA(부채자산비율)는 150.2%로 고위험가구가 소득이나 자산 측면에서 모두 채무상환 여력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은 고위험가구 중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18.5%로, 수도권(5.1%)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안정적인 소득이 없는 고령층 가구가 많아 채무 상환 부담은 더 크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주택가격이 하락하면 지방의 고위험가구가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은이 올해 시장의 기준금리 기대와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지방과 수도권의 고위험가구 비중(금융부채 기준)을 시산한 결과, 작년 말 지방 및 수도권은 각각 5.4%, 4.3%로 나타났다. 올해 말에는 지방은 5.6%로 커지고 수도권은 4.0%로 작아져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가 확대되는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 관계자는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 대응 방안의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