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한국도 드디어…LG, 추론 AI 공개

이상덕 기자
입력 : 
2025-03-18 17:32:3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LG AI연구원이 미국의 오픈AI와 중국의 딥시크에 필적하는 '추론형 인공지능(AI) 모델' 엑사원 딥을 개발하고 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엑사원 딥은 다양한 모델 크기로 제공되며, 특히 경량 모델인 7.8B는 동급 규모의 경쟁 모델들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다.

LG는 엑사원 딥이 국내 최초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경쟁에 나선다고 강조하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국내 첫 자체개발 '엑사원 딥'
"수학 문제 풀이 딥시크 능가"
LG AI연구원이 미국의 오픈AI나 중국의 딥시크에 필적하는 '추론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과 중국이 AI 패권을 놓고 치열한 글로벌 경쟁을 펼치는 구도에서 LG가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18일 LG AI연구원은 AI 플랫폼 '허깅 페이스'를 통해 추론 AI '엑사원 딥'의 성능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LG가 개발한 추론 AI는 인터넷이 연결돼 있지 않더라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한 PC에 내려받으면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 모델이다. 관련기사 A13면

엑사원 딥은 모델 크기에 따라 △대규모 프런티어급 엑사원 딥 32B △경량 모델 엑사원 딥 7.8B △스마트폰에 탑재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용 엑사원 딥 2.4B 등 3종이다. 특히 경량 모델인 엑사원 딥 7.8B는 동급 규모인 오픈AI의 o1-미니, 딥시크 R1 7B의 성능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문제 500개를 풀어서 정답률을 측정하는 MATH-500에서 엑사원 딥은 94.8점을 받아 딥시크(92.8점)와 o1-미니(90.0점)를 능가했다. 또 과학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GPQA 다이아몬드)에서도 62.6점을 얻어 딥시크(49.1점)와 o1-미니(60.0점)를 넘어섰다.

LG는 "전 세계적으로 오픈AI·구글·알리바바·딥시크처럼 소수의 기업만이 자체 추론 AI를 개발하고 있다"면서 "엑사원 딥은 이들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첫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덕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