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경제계 “밸류업 위해 상법개정 보다 ‘주주환원 촉진세제’ 모색해야”

한재범 기자
입력 : 
2025-03-12 15:33: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를 포함한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인 가운데, 대한상공회의소는 조세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건의서를 정부와 국회에 제출했다.

이번 건의서에는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 첨단산업 투자 세제지원 고도화, 위기산업 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 등 130건의 개선 과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배당 세액공제를 신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상의는 모호한 상법 개정이 기업 경쟁력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주들에게 직접 혜택을 주는 조세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의]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의]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를 담은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 상정을 앞둔 가운데, 경제계는 상법 개정 대신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 등을 포함한 조세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대한상공회의소(상의)는 12일 조세제도 개선과제를 담은 건의서를 정부와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상의는 매년 정부와 국회의 세법 개정에 앞서 기업의견을 수렴해 건의하고 있다. 이번에는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과 첨단산업 투자 세제지원 고도화, 위기산업 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 상속세 개편 등 130건에 달하는 개선 과제를 담았다.

상의는 건의서를 통해 배당 세액공제를 신설하자고 제언했다. 상의는 “기업들의 배당확대 노력에 맞춰 세제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배당증가분에 대한 5% 세액공제’ 신설을 건의했다. 배당 세액공제는 지난해 정부 세법개정안에 포함됐지만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어 상의는 “상법 개정은 이사의 법적 책임에 대한 불확실성만 키워 소송 남발, 투자 위축, 혁신 저해 등 기업 경쟁력을 훼손할 것”이라며 “모호한 입법이 아닌, 주주에게 직접 혜택이 갈 수 있는 주주배당 확대를 위한 조세제도를 마련해 밸류업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건의서는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액을 현금으로 환급해 주는 ‘직접 환급’ 방식을 도입할 것도 촉구했다. 또한 미사용 세액공제의 경우 제3자 양도를 허용해 기업들이 투자 자금을 유연하게 확보하게 하자고도 강조했다.

이밖에 중국발 저가공세로 위기를 맞고 있는 철강과 석유화학 업종을 위기산업으로 지정하자고 밝혔다. 해당 위기산업이 주력인 지역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선정하고,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를 적용하는 식이다.

이와 함께 손실을 본 기업이 신속하게 경영을 정상화할 수 있도록 이월결손금 공제 한도를 80%에서 100%로 상향하고, 공제 기한을 15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할 것을 주장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