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외환보유액 급감... 4년9개월만 최저

지유진 기자
입력 : 
2025-03-06 19:38:08

글자크기 설정

국민연금과 스와프 확대 영향
한은, “일시적 감소에 그칠 것”
달러.(연합뉴스)
달러.(연합뉴스)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4100억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국민연금과 외환 스와프 규모가 확대된 것이 주 요인으로 지목된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2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92억 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월보다 18억 달러 감소한 규모로 2020년 5월 이후 4년 9개월 만 최저치를 기록했다.

외환보유액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가 불균형하거나 외환시장이 불안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준비금이다. 국가의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대외 건전성 지표다.

외환보유액 중 가장 비중이 큰 유가증권은 3573억 8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46억 4000만 달러 줄었다. 반면 예치금은 280억 1000만 달러로 소폭 늘었다. 특별인출권(SDR)은 148억 4000만 달러로 1억 3000만 달러 늘었다. 국제통화기금(IMF) 포지션은 41억 9000만 달러, 금은 47억 9000만달러로 모두 종전과 같았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외환보유액 감소는 미 달러화 약세로 인한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규모 확대 등에 주로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외환당국은 지난해 12월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확대한 바 있다. 국민연금이 사용한 외환보유액은 만기 시 환원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감소에 그칠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올해 1월 말 기준 4110억 달러로 세계 9위다. 10위 독일(4003억 달러)과는 107억 달러 규모 차이가 난다. 1위는 중국(3조 2090억 달러), 2위는 일본(1조 2406억 달러), 3위는 스위스(9173억 달러)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