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은 코로나19 이후 최대 감소

지난 1월 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가 나타난 건 지난해 11월 이후 두 달 만이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산업생산지수는 111.2(2020년=100)로 전달보다 2.7% 감소했다.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2월(-2.9%) 이후 4년 11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부문별로 보면 제조업을 포함하는 광공업 생산이 전월대비 2.3% 감소했다. 반도체 생산은 0.1% 늘었으나 지난해 10월(+4.7%), 11월(+3.5%), 12월(+3.5%) 3개월 연속 호조를 보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자동차 생산은 0.4%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도소매(-4.0%)와 운수·창고(-3.8%) 부문에서의 감소로 전월대비 0.8% 감소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산업생산지수의 경우 전월(지난해 12월)에 많이 증가했던 기저효과 측면이 있다”라며 “지난달에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이 전월 대비 증가했었는데, 이번 달에는 반도체나 자동차가 생산에 기여한 폭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설 연휴와 임시공휴일 지정에도 소비는 크게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에선 1.1% 판매가 늘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2.6%)와 화장품 등 비내구재(-0.5%)에서는 모두 판매가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12.6%),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17.5%)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전달보다 14.2% 감소했다. 지난 2020년 10월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건설기성은 건축(-4.1%)과 토목(-5.2%) 모두에서 공사 실적이 줄어 4.3%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전망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3포인트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