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트럼프 타깃' 된 韓플랫폼법 … 공정위 "통상문제 없도록 대응"

곽은산 기자
입력 : 
2025-02-17 17:46:51
수정 : 
2025-02-17 20:07:4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플랫폼법을 '비관세 장벽'으로 간주하며 통상 압박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는 "국익 관점에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통상 문제로 발전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소통과 협의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플랫폼법의 사후 추정제 도입이 통상 규범과의 충돌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기존의 사전 지정제를 포함한 법안 통과를 시도하고 있어 한미 통상 마찰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으며, 여야는 법안 처리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한기정 공정위원장 간담회
미국 빅테크 규제 가능성에
비관세장벽 지정 우려 커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플랫폼법을 '비관세 장벽'으로 간주하고 상호관세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는 플랫폼법과 관련해 "국익 관점에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플랫폼법 입법 과정에서의 통상 환경 변화가 종합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하고 미국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국익 관점에서 통상 문제로 발전하지 않도록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미국 측과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지만, 별다른 협의 결과물은 없는 상황이다.

공정위는 앞서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실에 제출한 의견서에서는 "사전지정이 아닌 사후추정제를 도입한 공정거래법 개정안은 국내외 사업자 구별 없이 적용되는 만큼 통상 관련 규범들과 상충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앞서 공정위는 시장 영향력이 큰 플랫폼을 사전에 지정하는 방식의 플랫폼법 제정을 추진했다가 업계 반발에 사후 추정제로 선회했다. 이는 법을 위반했을 때 시장 점유율 등으로 지배적 사업자 여부를 추정해 처벌하겠다는 대안이지만, 미국 기업을 규율하는 동시에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같은 중국 기업에 진입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을 자극했다.

더구나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기존 사전 지정제를 담은 플랫폼법을 밀어붙일 태세여서 한미 통상마찰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자국 빅테크 보호를 우선하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상황이 바뀐 만큼 플랫폼법 추진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야는 곧 정무위 소위원회에서 법안 처리를 두고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곽은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