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서울 아파트 평당 3996만원에 매매

1월 서울 아파트 3.3㎡(1평)당 매매 가격이 4000만원대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 만이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평당 3996만원으로 전월(4213만원) 대비 5.2%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조여진 대출 여파와 함께 연초 탄핵 국정 이슈, 대외적 리스크 압박 등으로 최근 국내 주택 시장 분위기가 급속도로 냉각됐다. 김민영 직방 빅데이터랩실 매니저는 “거래량이 준 가운데 저가 매물 위주로 거래되고, 고가 거래는 줄면서 평균 매매 가격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평균 매매 가격 감소폭은 △서초구 -12.6%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이다.
서초구 1월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평당 7639만원으로 전월(8742만원) 대비 12.6% 하락했다. 1월 거래량도 87건으로 전월(146건)보다 40%가량 줄었다. 래미안원베일리 등 고가 단지 거래 비중이 줄며 평균 거래 가격이 낮아졌다. 서초구에서 15억원을 넘는 아파트가 거래된 비중은 74.7%로 지난해 12월(83.6%)보다 8.9%p 감소했다.
면적별로 살펴보면 전용 85㎡ 초과 면적대 가격 하락폭이 가장 컸다. 1월 서울 전용 85㎡ 초과 구간 평균 매매 가격은 5068만원으로 전월(5389만원)보다 6% 낮았다. 중대형면적대 거래가 줄어든 가운데 일부 저가 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전용 60㎡ 이하는 -2.8%, 60~85㎡ 면적대는 -4%의 변동률을 보였다.
반면 △종로구 31% △서대문구 10.7% △영등포구 6.3% △용산구 5.8% △도봉구 5.7% 순으로 평균 아파트 매매 가격이 올랐다.
한편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343건(2월 12일 기준)으로, 2023년 12월(1789건) 이후 가장 적었다. 김 매니저는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가 시행될 예정”이라며 “정부의 대출 규제가 계속돼 매수세 회복은 쉽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