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평균 창업비용 2억…직장인 소자본 창업 증가

이유진 기자
입력 : 
2025-01-16 14:36: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2년 기준 한국에서 창업에 필요한 초기자금이 평균 2억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창업자 10명 중 8명이 직장 경험을 활용하여 창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확보를 창업의 걸림돌로 꼽는 응답은 전년 대비 줄어들었고, 전체 창업기업 수는 482만9000개로 6.2% 증가했다.

중기부의 조경원 정책관은 이번 조사 결과가 창업환경의 활성화를 나타내며, 이는 창업생태계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중기부 ‘2022년 창업기업실태조사’
직장 경력 있는 창업자 83%
90% 이상은 자기자금으로 창업

창업기업 6.2% 늘어 3년 연속 증가
매출액은 7%↑…기술창업 실적 좋아

한국에서 창업할 때 평균 2억원의 초기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자들은 주로 본인 자금으로 창업했고,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5.8%선이었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기준 ‘창업기업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창업자 10명 중 8명은 직장 경험을 살려 창업했고, 29.6%는 2회 이상 창업에 도전한 재창업 기업으로 나타났다. 전년(2021년) 대비 직장 경험이 있는 창업자는 17%포인트 늘었고, 재창업 기업은 6%포인트 줄었다. 창업 걸림돌로 ‘자금 확보’를 꼽는 응답은 전년 71%에서 50.3%로 감소했다.

중기부는 지난해 4월 통계청이 발표한 ‘기업통계등록부’를 전수 분석하고, 창업기업 중 8031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특성을 조사했다.

창업 시 필요한 소요자금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은 눈에 띄는 부분이다. 창업 소요자금은 전년 2억8500만원에서 2억300만원으로 8000만원가량 줄어들었다. 창업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는 자기자금(95%)이 가장 많았고, 금융기관 대출(31.3%), 개인 간 차용(11.8%) 등 순이었다. 연령별 고용인원은 40대(31.1%), 50대(27%), 30대(23.6%) 순으로 조사됐다. 창업기업의 평균 자산은 전년 5억5000만원에서 감소한 4억8000만원이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5.8%, 당기순이익은 4.9%로, 영업 관련 지표들은 전년 5.3%, 3.5%보다 다소 개선됐다.

전체 창업기업 수는 전년 대비 6.2%증가한 482만9000개로, 전체 804만개 중소기업 중 창업기업이 60%를 차지했다. 연도별 창업기업은 2020년 이후 3년 연속 증가하는 추세다. 기술기반 업종 창업은 96만5000개로, 전체 창업기업의 20%를 차지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기술기반 업종 창업기업의 종사자 수와 매출액 비중이 전체 창업기업 비중보다 높다. 비기술기반 창업보다 경영성과가 더 높다는 해석이다.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창업기업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전반적인 지표 상승은 창업환경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이는 향후 창업생태계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조사는 통계청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시점과는 시차가 존재한다. 보고서 전문은 창업진흥원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