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두산에너빌, 5.7GW 규모 국내 양수발전 시장 공략 나선다

이종화 기자
입력 : 
2024-12-03 15:18: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 양수발전 사업에 진출한다.

양수발전은 상부댐의 물을 하부댐으로 낙하시켜 발전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저장 및 활용이 가능하며, 화재 등 위험성이 적어 ESS 시장에서 주목받는 분야다.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향후 국내 양수발전의 설비 용량은 5.7GW(총 9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두산에너빌은 관련 주기기를 모두 공급할 역량을 갖추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 본사 전경. 사진제공=두산에너빌리티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 본사 전경. 사진제공=두산에너빌리티
양수발전 시장서 수조원 주기기 발주 예상
수차·발전기·보조기기 등 주기기 역량 있어
작년 글로벌 ESS 중 양수발전 비중 66.5%

두산에너빌리티는 5.7기가와트(GW)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양수발전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양수발전은 상부댐의 물을 하부댐으로 낙하시켜 발전하는 방식이다. 전력이 남을 때 물을 끌어올리고 부족할 때 물을 흘려보낸 뒤 터빈을 돌리고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 및 활용이 가능하고, 화재 등 위험성이 적다.

양수발전을 위한 발전소의 주기기는 수차(터빈), 발전기, 보조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산에너빌은 이들 주기기를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양수발전은 ESS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분야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세계 ESS 설비 중 양수발전의 비중은 66.5%에 달한다.

국내에서도 양수발전 시장은 꾸준히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8~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내용을 종합하면 향후 건설될 양수발전의 설비 용량은 5.7GW(총 9기)에 달할 전망이다.

이 중 첫 사업으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이미 13년 만에 충북 영동군에 500메가와트(M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 외에도 홍천, 포천, 합천 등 다수의 양수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어 향후 수조원 규모의 주기기 발주가 예상된다.

김종두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BG장은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며 “원자력을 비롯해 수소터빈으로 전환 가능한 가스터빈, 수력 및 양수발전의 주기기 공급까지 무탄소 발전 솔루션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산에너빌은 지난 2019년 세계 1위의 수력 및 양수발전 주기기 공급사인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사와 사업 및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두산에너빌은 수력 및 양수발전 주기기 설계 기술의 자립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안드리츠와 손잡았다.

또 두산에너빌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공동으로 수력발전용 30MW급 수차∙발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