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산식품 최초로 수출 1조원을 돌파한 한국 김의 인기가 무섭다. 미국, 중국 등 해외 수출 실적이 올해 들어서도 급성장세를 자랑한다.
지난 3월 31일 해양수산부가 집계한 ‘김 주요 국가별 수출 실적’에 따르면 올해 1~2월 김 누적 수출액은 1억4136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04만달러(28.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출 물량은 6074t으로 15.3%(804t) 늘었다.
미국 수출액은 2818만달러로 전년 대비 41.6% 늘었다. SNS에서 한국산 냉동김밥 영상이 웰빙식으로 회자되며 미국 대형 식료품 체인 트레이더 조스(Trader Joe′s)에서 품귀 현상이 벌어지는 등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김 수출도 증가했다는 진단이다.
중국 수출액도 2313만달러로 1년 전에 비해 42.2% 증가했다. 중국 설 명절인 2월 춘제를 기점으로 마른김과 조미김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태국 수출액 역시 1379만달러로 31.5% 증가했다.
김 수출이 급증한 것은 우수한 품질 덕분이기도 하지만 다른 나라의 생산 감소에 따른 반사이익도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중일 동북아 3국 위주로 재배되는 김 원초가 중국, 일본에서 작황 부진을 겪은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일본 수출도 2298만달러로 소폭(5.5%) 증가했다.
해외 수출량이 늘어난 여파로 국내 김 가격도 상승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3월 25일 기준 마른김 1속(100장)의 도매가는 1만180원으로 1년 전(6586원)에 비해 54.6% 올랐다. 다만 정부가 할인 지원에 나서면서 소매가는 10장 기준 1151원으로 전년(1002원) 대비 14.9% 상승한 수준이다.
해수부는 지난 3월 26일 동원F&B 등 김 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가격 안정화 협조를 구하기도 했다. 수요에 맞춰 김 생산량은 늘리고 품질 관리를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올 7월부터 2000㏊ 규모 신규 김 양식장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의 생산 관리, 상품 개발, 판로 개척 등 생산부터 수출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설정한 김 산업 진흥구역도 지난 2023년에는 충남 서천, 전남 해남, 신안 3곳에 그쳤으나 올해는 전남 장흥과 진도까지 총 5곳으로 늘어난다. 품질을 국제적으로 인증받기 위한 ‘마른김 등급제’도 2026년까지 도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