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두 번째 시그널’ 라인업
티빙, 라이브 강화→숏폼 콘텐츠 제공

문화사업 출범 30주년을 맞은 CJ ENM이 2025년 한해 약 65여 개의 드라마, 예능 작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10일 오전 서울 마포구 CJ ENM 센터에서 ‘CJ ENM 콘텐츠 톡 2025’가 열렸다. 윤상현 CJ ENM 대표이사, 박상혁 미디어사업본부 채널사업부장, 민선홍 티빙 콘텐츠 총괄(CCO)이 참여해 CJ ENM 2025년 콘텐츠 전략과 No.1 K 콘텐츠 채널 tvN, 국내 대표 OTT 티빙(TVING)의 라인업을 소개했다.
윤상현 대표는 “2025년은 CJ그룹이 문화사업을 시작한지 30주년이 된 해다. 올해는 특별히 30주년을 기념해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K-콘텐츠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던 작품을 ‘비저너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CJ는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는 기업은 아니다. 지난 30년동안 스스로의 한계를 깨려고 해왔다. 문화산업을 만들려고 했고, 콘텐츠의 장르를 확장했다. 다채로운 콘텐츠로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였다고 자부하고 있다. 최근 K-콘텐츠가 글로벌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그 가운데 CJ ENM은 30년간 역할을 묵묵히 수행해왔다”고 했다.
윤 대표는 “최근 문화산업이 어렵다. 과거에도 어려웠지만 뚝심으로 결과를 이뤄내왔다. 2025년 역시 모방불가능한 콘텐츠를 토대로 도약하려고 한다. 더 많이 만들고, 글로벌로 뻗어나가 적극적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드라마 시장이 위축되며 제작 갯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소명 의식을 갖고 계속 투자를 이어나가겠다. 연간 1조원 규모로 콘텐츠 투자를 이어왔고, 올해는 1500억원 이상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수목드라마 블록을 부활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신인 창작자들의 참신한 작품들이 시청자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역대 최대 65편의 작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올해를 글로벌 확장의 원년으로 다지고 있다. ONLYONE IP 경쟁력을 더 널리 확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tvN은 올해의 콘텐츠 키워드로 ‘도파민’, ‘무해력’을 꼽았다. CJ ENM 박상혁 미디어사업본부 채널사업본부장은 “불안이 일상화된 시대다. 팍팍하고 힘든 현실에서 지난해 tvN에서는 ‘내 남편과 결혼해줘’ 같은 ‘회귀’ 소재가 각광을 받았다. 또 신뢰가 무너진 시대에 ‘눈물의 여왕’, ‘선재업고 튀어’가 순애보를 보여줬다. 이에 역대 tvN 드라마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고, 압도적 채널 화제성을 이뤄냈다”고 밝혔다.
이어 2025 tvN의 라인업을 소개했다. 올해 tvN은 드라마 ‘태풍상사’, ‘프로보노’, ‘신사장 프로젝트’, ‘그놈은 흑염룡’, ‘서초동’, ‘이혼보험’, ‘언젠가는 슬기로운 전공의생활’, ‘감자연구소’, ‘폭군의 셰프’, ‘견우와 선녀’, ‘얄미운 사랑’, ‘두 번째 시그널’, 예능 ‘뿅뿅 지구오락실 시즌3’, ‘식스센스: 시티투어’, ‘장사천재 백사장3’, ‘에드워드리의 컨츄리쿡’, ‘언니네 산지직송2’, ‘무쇠소녀단 시즌2’ 등을 선보인다.
박 사업부장은 “올해 50편 이상의 드라마를 편성할 예정이다. 채널 중 최대다”라며 “안주하지 않고, 남다른 보법으로 달려나가는 tvN이 되겠다”고 기대를 당부했다.
티빙은 2025년 콘텐츠 라인업의 키워드를 ‘무한한 스펙트럼’, ‘시그니처 콘텐츠’, ‘스포츠 과몰입’으로 꼽았다. 민선홍 티빙 콘텐츠 총괄(CCO)은 “이용자의 패턴을 분석하고 니즈를 반영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먼저 라이브 서비스를 강화하려고 한다. 쇼츠 탭 신설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에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 하반기에는 티빙 오리지널 숏폼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올해를 티빙 글로벌 원년으로 삼고 전세계에 티빙 콘텐츠를 제공하겠다. 변화할 티빙을 기대해달라”고 밝혔다.
티빙은 2025년 드라마 ‘원경’, ‘스터디그룹’, ‘친애하는 X’, ‘춘화연애담’, ‘내가 죽기 일주일 전’, ‘러닝메이트’, ‘샤크: 더 스톰’, 예능 ‘환승연애: 또 다른 시작’, ‘환승연애 시즌4’, ‘대탈출: 더 스토리’, ‘김성근의 겨울방학’, ‘야구대표자 시즌2’, ‘파이트송(가제)’ 등을 선보인다. 이 밖에도 오는 3월부터 2025 KBO 중계를 비롯 농구, 축구, 격투기, 세계 4대 메이저 테니스 대회까지 연중무휴 스포츠 중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어 신작 ‘태풍상사’의 김륜희CP, ‘감자연구소’, ‘서초동’의 김호준CP, ‘언니네 산지직송’과 스타일&라이프 IP 총괄 이원형CP, ‘식스센스: 시티투어’의 정철민PD, ‘환승연애’ 김인하PD가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스튜디오드래곤 김륜희CP는 “‘태풍상사’를 이준호, 김민하, 이나정 감독님과 함께 준비 중이다”라며 “tvN드라마를 2011년부터 만들어왔다. 가장 tvN스러운걸 생각해보니 ‘새롭고 신선한 시도와 웰메이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태풍상사’는 90년대 IMF시대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그 시대를 연대와 휴머니즘으로 생존해낸 평범한 분들의 시선이 강점이다”라고 했다.
CJ ENM 스튜디오스 김호준CP는 “‘감자연구소’는 티키타카 로맨스, ‘서초동’은 어쏘변호사의 성장이야기다”라며 “가장 tvN스러운건 ‘재밌는 것’이다. 올해의 테마는 ‘공감’, ‘눈높이’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MZ의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에 있어서 ‘과연 그 눈높이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드라마를 만들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됐다. ‘중증외상센터’의 천재의사가 있는 반면에, 산과 전공의들의 세상은 어떨까 싶었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 나의 입장에서 다가간다면 격한 공감과 힐링을 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원형CP는 “‘언니네 산지직송’은 무해력의 선두주자가 아닐까 생각한다. 시즌2를 4월에 론칭 예정이다”라며 “가장 tvN스러운 건 ‘무해력’이다. 인위적이거나 억지로 웃음과 재미를 주려고 하지 않고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녹아진 재미를 담담하게 던진다. ‘언니네 산지직송2’는 2030을 좀 더 타케팅 하기 위해 임지연, 이재욱을 캐스팅했다”라고 했다.
정철민PD는 “‘식스센스: 시티투어’는 ‘식스센스’의 스핀오프다. 도파민 터지는 소재에 무해한 멤버들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이다. 게임 형식은 사라졌고, 도심을 다니며 편안한 분위기를 선보인다”라며 “젊은 친구들은 유튜브나 OTT같은 곳으로 가는 편이고, 어른들은 TV라는 편한 매체에 머무르고 있다. tvN스러움은 ‘힙지로 을지로’가 답이라고 생각했다. 2030부터 어른들까지 모두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김인하PD는 “‘환승연애4’는 지난시즌보다는 속도감있는 빠른 전개로 다가갈 예정이다”라며 “‘환승연애’의 장점은 ‘도파민’이다. ‘도파민’을 가장 많이 터뜨리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요즘에는 시청 뿐 아니라 참여를 한다. 리뷰부터 다양한 밈을 재생산한다. ‘환승연애’는 그 중심에 있다. 올해도 그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빠른 호흡으로 MZ들의 취향에 다가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영은 스타투데이 기자]